지난 12일 이재명 대통령이 주재한 '강원의 마음을 듣다' 타운홀 미팅이 강원도 춘천 강원창작개발센터에서 열렸다. /대통령실
지난 12일 이재명 대통령이 주재한 '강원의 마음을 듣다' 타운홀 미팅이 강원도 춘천 강원창작개발센터에서 열렸다. /대통령실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정부가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돌파구로 ‘민·관 상생 자매결연’ 정책을 본격 가동했다. 내수 진작과 비수도권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선택이자, 중앙정부·공공기관·민간기업의 협업을 통해 지역 상생 모델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15일 관계 부처 합동으로 ‘지방살리기 상생 자매결연’을 추진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는 제33회 국무회의(7월 29일) 및 경제관계장관회의(8월 7일)에서 상정된 ‘지방살리기 소비 활성화 방안’의 핵심 이행 과제 중 하나다.

정부는 “최근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으로 전국 소비세가 일부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지역경제는 여전히 회복 속도가 더딘 상황”이라며 이번 정책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행정안전부를 중심으로 중앙부처와 공공기관, 민간기업이 인구감소지역·재난피해지역 등 141개 시·군·구와 자매결연을 맺고 실천적 프로그램 중심의 교류 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다. 자매결연은 시·군·구당 2개 이상 기관과 연계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산업부, 곡성·해남·고성·영덕과 결연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번 정책 추진에 발맞춰 전남 곡성군·해남군, 강원 고성군, 경북 영덕군 등 4개 지역과 자매결연을 체결, 지방 활성화에 적극 나선다. 주요 실천 내용은 지역 특산품 구매, 휴가철 방문 독려, 지역축제 연계 협력 등이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이번 자매결연이 민간기업과 지역 간 상생 교류가 활발히 이어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면서 “기업과 지역의 상생교류 확대가 지방소비를 촉진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중앙부처-지자체 자매결연 매칭 결과. /산업통상자원부
중앙부처-지자체 자매결연 매칭 결과. /산업통상자원부

중앙부처는 자매결연을 선도적으로 추진하며 이미 50개 부처와 141개 지자체 간 매칭을 완료했다. 공공기관은 기획재정부의 수요조사를 통해 50여개 기관이 신규 체결 의사를 밝혔고, 60여 개 기관은 기존 결연 지역에서 교류 활동을 확대할 계획이다.

민간기업의 경우, 산업부가 경제단체를 통해 자율적 참여를 권고한 결과 20여개 기업이 전통시장 구매, 명절선물 구입, 지역축제 후원 등 지역 기반 활동에 나설 뜻을 밝혔다.

“일회성 이벤트 아닌 지속적 상생 관계로 확대”
정부는 이 같은 자매결연 사업이 단기적 이벤트에 그치지 않고, 지속 가능한 상생 구조로 정착될 수 있도록 범부처 차원의 협업과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행정안전부는 중앙부처 주도 매칭 이후에도 자매결연 정책이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우수 사례 공유, 애로사항 관리 등 후속조치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또 수도권 기관과 비수도권 지자체 간의 추가 결연도 지원하는 등 지자체-기관 간 자율적 연계 확대를 유도하고 있다. 일부 부처는 더 많은 지자체와 결연 의사를 밝히고 있으며, 특정 부처와의 결연을 역제안하는 지자체도 등장하는 등 긍정적인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는 평가다.

정부 관계자는 “지방소멸 위기와 지역 불균형 문제 해소는 민생경제 회복의 핵심 과제 중 하나”라며 “이번 자매결연을 통해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내수 회복세를 전국으로 확산시키는 기폭제가 될 수 있도록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