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김진우 기자] 한국원자력학회가 23일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제223회의에서 고리2호기 계속운전 허가 건을 두 번째 보류한 것과 관련해 깊은 유감을 나타냈다.
원자력학회는 24일 '원안위의 고리2호기 계속운전 허가 보류에 대한 학회의 입장'을 내고 안전성이 확인된 원전에 대한 더 이상의 심사 지연은 이유가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번 보류 사유인 방사성환경영향평가서에 운영허가 당시와의 변화 여부를 참고자료로 추가 제시하라는 것을 두고 이는 원전의 안전성 자체와는 무관한 서류 형식상의 문제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이어 과도한 규제심사는 국민부담과 에너지 위기를 초래하며, 안전성이 확보된 원전의 가동 지연은 국가 경쟁력을 포기하는 것과 같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원자력안전위원회와 정부를 향해 3개 요구 사항을 이행해 줄 것을 강력 촉구했다.
요구사항은 ▲원안위는 다음 회의를 신속히 개최해 계속운전 심사 조속히 마무리 ▲원안위는 합리적인 계속운전 심사기간 목표를 설정하고 불필요한 규제 지연 대비책 마련 ▲정부는 2030년까지 설계수명이 만료되는 원전 7기의 계속운전이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원자력안전규제 담당 인력과 조직 확충 등이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