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기후기금(GCF)이 입주해 있는 인천 송도 G타워 전경. /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제공
녹색기후기금(GCF)이 입주해 있는 인천 송도 G타워 전경. /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제공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환경부는 13일 서울 종로구 HJ비지니스센터에서 국립환경과학원 등 5개 소속·산하기관 및 한국환경연구원과 함께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국제감축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에 참여한 기관은 국립환경과학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공단,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이다.

이번 협약은 유엔 파리협정 제6조의 의무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해당 의무는 국제감축사업 승인부터 감축 실적 발급, 검증 및 인증, 국가보고서 작성 및 제출, 감축 실적 추적을 위한 등록부 구축과 운영 등을 포함한다.

유엔개발계획(UNDP)과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등 국제기구는 개도국의 온실가스 감축 준비를 돕기 위해 ‘레디니스(Readiness)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나 모든 개도국이 이를 지원받기에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환경부는 협약 참여 기관들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국형 레디니스 프로그램’을 개발, 개도국의 온실가스 감축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 참여 기관들은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과 관련된 △법·제도 설계, 감축 검·인증 △격년투명성보고서(BTR) 작성 △감축사업 추진 등의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이를 통해 환경부는 개도국에 필요한 역량강화 지원 과정을 적시에 제공하고 관리체계를 구축, 이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안세창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은 “한국형 레디니스 프로그램은 우리나라의 기후분야 전문성을 통해 개도국을 지원하는 중요한 사업”이라며 “환경부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국내 기업의 국제감축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용어설명

.레디니스(Readiness)=녹색기후기금(GCF, Green Climate Fund)이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 준비를 돕는 프로그램으로, 개도국이 GCF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사업기획 및 역량강화를 지원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