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정책자금 분야별 세부 지원 내용. / 환경부 제공
환경정책자금 분야별 세부 지원 내용. / 환경부 제공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환경부가 국내 환경산업의 지속적 성장과 기업 전반의 녹색전환 활성화를 위해 올해 총 4,600억원 규모의 ‘미래환경산업육성융자’ 사업을 추진한다고 13일 밝혔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함께 진행하는 이번 융자 사업은 지난해보다 400억원 증가한 역대 최대 규모로 중소환경기업 육성과 기업의 녹색시설 설치 지원 필요 자금을 장기(5~10년) 저리(2025년 1분기 기준 1~1.61%)로 지원한다.

융자 사업은 크게 환경산업 분야와 녹색전환 분야로 총 지원 금액은 각 분야별로 2,000억원과 2,600억원이다.

환경산업 분야는 중소·중견 환경기업의 시설 설치나 경영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며 녹색전환 분야는 중소·중견기업이 온실가스 및 환경오염방지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돕는다.

환경부는 그간 2024년까지의 청정대기전환시설 지원사업과 2023년까지 진행한 친환경설비투자 지원사업 등으로 나눠진 지원사업을 올해부터 통합해 ‘미래환경산업육성융자’ 사업으로 운영한다.

특히 올해는 중소기업의 저탄소·녹색설비 설치를 유도하기 위해 녹색전환 분야 지원규모를 지난해보다 600억원 증액했다. 오염방지시설에 400억원, 온실가스저감설비에 200억원을 추가로 배정한 것이다.

또 환경오염방지시설의 경우 대규모 설치 수요를 반영해 지원 한도를 기존 100억원에서 300억원으로 상향했다.

융자 신청을 희망하는 중소·중견기업은 다음달 3일부터 14일까지 에코스퀘어(ecosq.or.kr)를 통해 신청서를 제출할 수 있다. 이후 심사를 거쳐 융자 승인과 자금 지급 등이 이루어진다. 상세한 내용은 에코스퀘어나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기업육성실에 문의하면 된다.

서영태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은 “경기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환경기업뿐 아니라 녹색전환을 준비 중인 모든 중소·중견기업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며 “미래 먹거리가 될 녹색 분야에서 국내 기업들이 세계적인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녹색투자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