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시아는 향후 5년간 LNG 수요의 핵심 지역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이미지 편집
동북아시아는 향후 5년간 LNG 수요의 핵심 지역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이미지 편집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미국이 다시 석탄으로 돌아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최근 서명한 행정명령을 통해 석탄발전소 건설을 장려하는 정책 기조를 재확인했다. 이는 인공지능(AI) 확산에 따른 폭발적인 전력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버림받았던 산업을 되살리고 있다”며 "광부들을 다시 일터로 돌려보낼 것"이라고 선언했다. 실제로 미국 내 석탄 발전 비중은 2000년 50%에서 현재 20% 수준으로 급락했지만, AI 데이터센터 확장과 인구 증가로 전력 수요가 급격히 늘면서 석탄과 가스 발전이 동시에 부활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글로벌 차원에서도 석탄발전 용량은 여전히 증가세다. 글로벌 에너지 모니터(Global Energy Monitor)에 따르면, 2023년 전 세계적으로 44.1GW의 석탄 발전소가 신규 건설됐고, 25.2GW가 퇴출되면서 순 증가분은 18.8GW를 기록했다. 중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신규 석탄발전소 건설이 꾸준히 이어지는 가운데, 이제 미국까지 석탄 확대 흐름에 합류할 가능성이 커졌다.

이는 LNG 중심으로 에너지 전환을 추진해온 일본과 한국에도 상당한 파장을 미칠 전망이다. 석탄이 다시 주목받으면, 글로벌 천연가스 수급 구조에도 변동성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AI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로 인한 전력 대란 우려가 확산되면서, 빠른 시일 내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한 가스 기반 전력에 대한 수요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일본과 한국은 이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천연가스 수급 불안을 경험한 바 있다. 두 나라는 중장기적으로 재생에너지 전환을 목표로 삼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가스발전 의존도를 일정 기간 유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일본은 2030년까지 전체 전력 믹스에서 LNG 비중을 20% 이상 유지할 계획이며, 한국도 데이터센터 수요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천연가스 기반 전력 수급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미국, 중국, 인도 등 주요국이 석탄 사용을 늘리면서 글로벌 LNG 가격 변동성은 더 커질 수 있다. 에너지 전문가들은 "AI 전력 수요 확대로 인한 공급 불안이 가속화되면서, 일본과 한국 모두 당분간 가스 수급 안정성 확보에 주력해야 한다"고 진단한다.

재생에너지 확대가 쉽지 않은 현실 속에서, 가교 에너지원으로서의 LNG 역할은 오히려 강화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키워드
#트럼프 #미 LNG #AI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