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세계 2위 LNG 수출국’ 호주가 역설적으로 2027년부터 LNG 수입에 나설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호주 경쟁·소비자위원회(ACCC)는 최근 “동부 해안 지역에서 구조적인 공급 부족 가능성이 가시화되고 있다”며, 수입 전환을 위한 동부 해안 4개 터미널 프로젝트가 2027~2029년 사이 본격 운영에 들어갈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는 국내 가스 공급의 지역 불균형, 노후화된 생산 인프라, 에너지 전환기 전력 수요 급증에 따른 현상으로, 향후 호주 에너지시장의 구조적 전환을 시사하는 분기점이 될 수 있다.

■ 수출국 호주의 LNG 수입 추진, 왜?
호주는 전 세계 LNG 수출량 기준으로 카타르, 미국과 함께 글로벌 TOP3에 속해 있으나, 국내 가스 생산의 지역 편중이 뚜렷하다. 대부분의 생산은 서부 퍼스, 북부 다윈, 북서 대륙붕에서 이뤄지는 반면, 동부 해안의 뉴사우스웨일스·빅토리아 등은 수요 중심지임에도 공급망이 취약하다.
게다가, △노후 가스전 생산량 감소 △재생에너지 전환 지연 △열병합발전·산업가스 수요 증가 등의 이유로 중장기 가스 부족 우려가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FSRU를 통한 수입 가스 도입은 유연하고 빠른 대응 수단으로 평가받고 있다.
■ FSRU 기반 수입의 경제성은?… “단기 대응이지만 구조 전환은 불가피”
FSRU는 건설비가 낮고 도입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운영비 부담과 장기적 자립 불가능성이라는 한계도 존재한다. 일각에서는 “호주의 자원수출국 이미지와 정책 정합성이 충돌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하지만 호주 에너지시장 운영기관(AEMO)은 2025년 이후 동부 해안 지역의 전력 수요 증가와 공급 병목이 심화될 경우, FSRU 기반 수입 인프라가 ‘전력안보의 파이프라인’으로 기능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 2070년까지 가동 연장 승인…호주 LNG, 기후보다 공급 우선
- 부유식 LNG, 에너지 공급망의 패러다임을 바꾸다
- "호주 자원+포스코 기술"... 퍼스에 핵심자원연구소 개소
- 호주-일본 수소 파트너십, 2050 아태 청정에너지 모델 제시
- 호주, 천연수소 탐사 본격화…Edmund-Collier서 '열기원 수소' 잠재성 확인
- 롱지, 호주 최대 그린수소 프로젝트에 수전해기 공급…3천톤 탄소 저감 추진
- 우드사이드 "2030년까지 글로벌 가스 수요 50% 급증 전망"
- 한국 LNG 수입, 호주·미국·카타르 3국 비중 65%↑
- UN, 호주에 ‘2035 탄소감축 75%’ 요구…에너지 전략 전환 촉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