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포스코홀딩스가 철강 및 이차전지소재의 원가 경쟁력과 기술 우위를 동시에 확보하기 위해 호주에 전략적 연구거점을 구축했다.
지난 5월 30일, 포스코홀딩스는 서호주 퍼스(Perth)에 '호주핵심자원연구소'를 개소하고, 원료가 풍부한 현지에서 글로벌 원료社 및 연구기관과의 공동 연구를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국내 기업이 해외 자원지 인근에 원료 전문 연구소를 설립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개소식에는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을 비롯해 미래기술연구원 김기수 원장, 핸콕(Hancock), BHP, 리오틴토(Rio Tinto), PLS(구 필바라미네랄스) 등 호주 주요 자원기업 관계자와 호주연방과학산업연구원(CSIRO), 서호주광물연구소(MRIWA), 커틴대학교 등 학계 인사들이 참석해 협력의지를 공유했다.
장 회장은 개소식에서 “포스코는 1971년부터 호주 철광석을 기반으로 성장해왔으며, 이번 연구소 설립을 통해 자원 확보와 가공기술 고도화를 동시에 추구할 것”이라며 “호주의 자원과 포스코의 기술을 융합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핵심광물 확보의 전략 거점으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 자원 확보에서 기술 독립으로…철강·2차전지소재 원료기술 공동개발
포스코그룹은 이번 연구소를 통해 철강 원료인 철광석·석탄은 물론, 리튬·니켈 등 이차전지소재의 원가절감 기술, 저탄소 원료 활용 기술을 집중 개발할 방침이다. 특히 호주의 자원회사 및 연구기관과 연계해 실증연구 및 공동개발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희토류 분리·정제 기술 등 차세대 핵심광물 연구에도 착수한다.
이는 단순 원료 수입을 넘어 ‘현지화된 기술 내재화’를 통한 공급망 주도권 확보 전략으로, 글로벌 광물 수급이 갈수록 정치·환경 이슈에 취약해지는 상황에서 의미가 크다.
포스코는 1980년대부터 호주와의 협력을 통해 안정적인 철광석 수급을 이어왔으며, 최근에는 PLS社와의 리튬 합작법인을 통해 이차전지 밸류체인 내재화를 확대 중이다. 이번 연구소 설립은 이러한 협력 기반 위에 기술역량을 덧붙이는 고도화 전략으로 풀이된다.
■ 차세대 광물시장 겨냥…희토류 및 투자기회 발굴도 병행
호주핵심자원연구소는 철강 및 이차전지소재 외에도 차세대 희토류 시장에 대비한 분리·정제 기술 연구를 함께 추진한다. 희토류는 전기차, 풍력발전, 반도체 등 다양한 첨단산업에 필수적인 자원으로, 고효율·친환경 정제기술 확보는 곧 시장 선점의 핵심 열쇠다.
포스코는 현지 기업·기관과의 정보교류를 통해 잠재적인 글로벌 광산 투자 기회를 모색하고, 공급망 다변화 전략도 병행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 LG화학-포스코홀딩스, CCU 기술 실증 맞손
- 한수원-포스코, 청정에너지 협력 맞손
- 한수원-포스코홀딩스, 국내외 청정에너지 분야 상호 협력
- 포스코홀딩스, 호주 하이사타와 함께 그린수소 기술 강화
- 포스코그룹, 대학생과 함께 지속가능 미래 설계… ‘레벨업그라운드’ 개최
- ‘철의 날’ 26돌…철강업계, 위기 넘고 미래로 도약 다짐
- ‘수출국의 역설’… 호주, 2027년부터 LNG 수입 본격화
- 한강 노들섬, ‘스틸 아트섬’으로 재탄생…포스코·서울시 손잡다
- 포스코홀딩스, 美서 DLE 실증 나선다… 북미 리튬 공급망 강화
- 호주 Santos, 카타르와 LNG 중기계약…2026년부터 연 50 톤 도입
- 호주 Monadelphous, Shell·Origin과 1억 달러 이상 계약 수주
- 호주 LNG 수출 호황의 역풍…'국내 전력난 우려' 확산
- 포스코, ‘안전 최우선 경영’ 선언… 하도급 혁신·안전 전문회사 설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