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GLNG플랜트 전경/한국가스공사 제공
호주 GLNG플랜트 전경/한국가스공사 제공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호주가 세계 최대 LNG 수출국 중 하나로 자리매김한 가운데, 국내 에너지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며 LNG 수출 억제 목소리가 다시 부상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보고서는 LNG 수출 호황과 국내 전력 가격 급등 사이의 상관관계를 지적하며,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국내 가스 공급을 우선 확대해야 한다는 압력을 높이고 있다.

 ACCC(호주 경쟁소비자위원회)가 지난 6월 발표한 ‘East Coast Gas Supply Outlook’ 보고서이며, 퀸즐랜드 LNG 생산자들의 수출 결정이 2025년 4분기 및 2026년 중 내수 공급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경고를 담고 있다. The Australia Institute가 2025년 7월 발표한 연구에서는 LNG 수출 개방 이후 국내 도매 가스 가격이 세 배 수준으로 급등했고 전기요금도 두 배로 상승했다는 분석을 제시했다

 ACCC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의 주요 전력망 도매 전력가격은 LNG 수출이 본격화된 지난 10년 사이 약 73% 상승해 MWh당 70.57달러까지 치솟았다. 이는 호주가 아시아를 중심으로 LNG를 공격적으로 수출하면서 국내 공급 여력이 축소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Queensland 지역의 가스 생산업체들이 계약되지 않은 가스를 모두 해외로 수출할 경우, 2025년 4분기부터 호주 내 공급 부족 사태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현재 호주는 전 세계 LNG 공급량의 약 20%를 차지하며 카타르, 미국과 함께 3대 LNG 수출국으로 꼽힌다.

호주의 LNG 수출은 전체 인구의 약 3분의 2가 거주하는 남동부 지역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LNG 수출이 늘어나면서 이 지역은 국내 가스 가격 급등과 전력공급 불안을 동시에 겪고 있으며, 일부 산업계에서는 전력비 부담이 심화되고 있다.

또 다른 문제는 노후화된 석탄화력 발전소에 대한 높은 의존도다. 석탄화력은 여전히 호주 전력 수요의 65%를 담당하고 있지만, 발전소 노후화와 잦은 고장으로 전력망 안정성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가스 공급 부족과 석탄발전 불안정성이 맞물리면 전력난이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을 두고 호주 내에서는 정부가 LNG 수출을 일정 부분 제한하거나 국내 비축 의무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LNG 수출을 유지하면서도 국내 공급을 안정화할 수 있는 ‘이중 정책’을 추진하지 않을 경우, 에너지 가격 급등과 산업 경쟁력 저하가 심화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호주는 최근 몇 년간 아시아 시장의 급증하는 수요에 대응하며 LNG 수출을 확대해 왔지만, 국내 전력 시장의 불안정성을 방치할 경우 사회·경제적 파장이 커질 것이라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다.

키워드
#호주 #호주 LNG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