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독일이 최대 20GW 규모의 신규 가스 발전 플랜트를 연말부터 입찰에 부칠 계획인 가운데, 이들 발전소의 향후 수소 기반 전환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수소 연료로의 전환에 대한 법적 의무는 부재한 상태로, 실제 전환이 이뤄질지는 불확실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독일 연방정부는 단기적으로 노후 석탄 발전소를 대체하기 위해 가스 발전을 ‘과도기적 에너지’로 규정하고 있으며, 초기 용량은 5~10GW 수준으로 제한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2045년까지 대부분의 화석연료를 퇴출하겠다는 에너지·기후 목표를 제시하고 있으나, 이와 관련한 구체적 로드맵은 여전히 미비한 실정이다.
■ 수소 전환 ‘의무’ 아닌 ‘선택’… 정책 신뢰성 논란 확산
현재 정부 입장은 “향후 수소 전환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것”이라는 선언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 과거 일부 정부 방침은 수소 전환을 계약 조건 또는 설계 전제 조건으로 설정했으나, 이번 신규 가스 플랜트 계획에서는 법적 의무화 조항이 빠졌다.
이에 대해 환경단체와 수소 업계는 “수소 전환을 명문화하지 않을 경우, 이번 입찰은 사실상 화석연료 인프라 확장에 불과하다”고 비판하고 있다. 이는 독일이 EU의 REPowerEU 전략 및 기후중립 목표를 이행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으로 이어진다.
■ “2030년까지는 수소 부족”… 가스의 석탄 대체 기능 강조
독일 정부는 “2030년까지는 충분한 그린수소 공급이 불가능하며, 가스 발전이 일시적 전력 안정화 수단으로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특히 풍력·태양광 중심의 재생에너지 공급 변동성으로 인해 기저 부하용 발전원으로서 가스의 역할은 당분간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실제로 2025~2030년 사이 석탄 발전소 폐쇄가 집중되면서 전력 수급 공백을 보완할 수 있는 유일한 단기 기술이 가스 발전이라는 점은 정부의 핵심 논거다.
■ 수소 전환 로드맵 부재… 에너지전환의 신뢰성 위협
독일은 2045년까지 국가 차원의 화석연료 완전 퇴출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정작 2030년대에 들어설 때까지 수소 기반 발전 전환을 어떻게 실현할지는 명확히 제시되지 않고 있다.
수소 업계는 “전환을 전제로 하지 않은 발전소 설계는 결국 장기적인 화석연료 의존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며, 그린수소 전환 경로의 단계적 실행 방안을 입찰조건에 반영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 과도기 에너지인가, 구조적 역행인가
독일의 이번 신규 가스발전 확대 계획은 재생에너지 중심 체계로 이행하기 위한 ‘브리지 솔루션’으로 포지셔닝되고 있지만, 수소 전환 의무화 부재는 기후 목표에 대한 시장과 시민사회의 신뢰를 약화시킬 수 있다.
향후 에너지 전환의 핵심은 “탄소중립을 전제로 한 유연성 확보”에 있으며, 화석 기반 설비가 얼마나 수소로의 전환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느냐가 독일 기후전략의 성패를 가를 주요 변수가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