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28일, 충남 예산·서산, 경남 산청, 경기 가평 등 집중호우 피해가 컸던 지역에서 한국환경공단의 대규모 복구 지원 활동이 펼쳐졌다.
지난 7월28일, 충남 예산·서산, 경남 산청, 경기 가평 등 집중호우 피해가 컸던 지역에서 한국환경공단의 대규모 복구 지원 활동이 펼쳐졌다.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한국환경공단이 전국 수해지역 복구를 위해 임직원 400여 명을 투입하며 전사적 대응에 나섰다. 공공환경관리 전문기관으로서 쌓아온 재난대응 역량과 민관 협력 인프라를 바탕으로 침수 주택, 도로, 농경지에 대한 현장 중심 복구활동을 가속화하고 있다. 특히 단순 인력 지원을 넘어 폐기물 수거 차량 운용, 시설 기술진단, 지자체 협력체계 구축 등 종합적이고 구조적인 대응이 주목된다.

■ 임직원 400여 명 투입…침수 주택부터 도로까지 현장 지원

지난 7월28일, 충남 예산·서산, 경남 산청, 경기 가평 등 집중호우 피해가 컸던 지역에서 공단의 대규모 복구 지원 활동이 펼쳐졌다. 앞서 24일부터 충남 홍성, 전남 담양 등에서 복구 활동을 이어온 공단은 피해 지역별 맞춤형 대응으로 체계적인 복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번 지원 활동에서는 △폐기물 및 잔해물 수거 △토사 제거 △주택과 농지 정비 △생활기반시설 복구 등이 진행됐으며, 이를 위해 공단은 폐기물 수거 차량을 다수 투입해 효율적인 작업을 지원했다.

■ ‘기술+장비’ 결합한 재난 대응 체계…지자체와 상시 협력 강화

공단은 단기 복구를 넘어, 장기적 환경 안정화 지원도 병행한다. 각 지자체와의 협력 하에 재해폐기물 수거·운반·처리 등 전 과정에 걸친 상시 지원체계를 가동하고 있으며, 자체 계약된 집게차량 109대를 통해 신속한 현장 투입이 가능하도록 조정 체계를 구축했다.

특히 이번 수해로 침수된 공공하수처리장 등 환경기초시설에 대해 기술진단과 응급복구도 병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피해 지역의 환경 기능 회복과 2차 피해 예방까지 도모하고 있다.

■ ESG·재난대응 선도 기관 위상 강화…“복구 완료 시까지 지원 지속”

한국환경공단은 최근 몇 년간 재난 상황에서의 지속적 대응력을 입증해왔다. 2023년 경북·충남 수해, 2024년 서천시장 복구, 2025년 경북 산불 복구 등 전국 각지에서 공단의 복구활동은 이미 수차례 반복되며 환경 기반 공공기관의 책무를 수행해왔다.

임상준 이사장은 “지역사회의 고통을 함께 나누는 것은 환경공공기관의 당연한 책무”라며 “완전한 복구가 이뤄질 때까지 지속적인 장비와 인력 투입을 통해 이재민들이 조속히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