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공단 전경./ 한국환경공단 제공
한국환경공단 전경./ 한국환경공단 제공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한국환경공단(공단)이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경기도 가평군을 비롯한 특별재난지역 6곳의 수해복구를 위해 긴급 지원에 나섰다. 공단은 복구지연에 따른 2차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현장 중심의 실질적 대응에 초점을 맞췄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지자체는 △가평 △산청 △서산 △예산 △담양 △합천 총 6곳으로, 공단은 이들 지역에 수해복구 장비와 인력을 긴급 투입했다고 23일 밝혔다.

공단은 이날 산청군에 2대, 합천군에 4대의 수해복구차량을 우선 투입했으며 신속한 폐기물 처리를 위해 상시 복구 지원체계를 가동 중이다. 특히 공단은 약 109대의 복구 장비를 비상 대기 상태로 운영, 지자체 요청 즉시 현장에 투입할 계획이다.

수해 복구는 단순한 배수작업에 그치지 않고 폐기물과 가전제품의 수거, 운반, 처리 등 전 주기 대응이 핵심이다. 공단은 관할 지자체와 협업해 대형 폐기물 수거체계를 구축,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와 함께 한국환경공단은 환경부 자원순환국과 7개 유역(지방)환경청으로 구성된 ‘폐기물처리지원반’에 공단 직원 32명을 배치, △재난폐기물 발생 규모 산정 △처리 상황관리 △현장점검 및 기술지원 △수거장비 긴급지원 등의 활동을 본격화하고 있다.

공단 관계자는 “수해로 인해 발생하는 폐기물은 보관이나 처리 지연 시 악취, 위생, 2차 감염 등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 전문적인 관리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정재웅 환경공단 자원순환이사는 “수해복구 일일상황 점검을 통하여 공단의 손길을 필요로 하는 지역의 신속한 복구지원으로 주민들이 일상을 회복하고 생계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단은 이번 수해를 계기로 재난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점검과 개선 방안 마련에도 착수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