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다시 알래스카 에너지 개발의 물꼬를 열었다.
최근 트럼프 캠프는 알래스카 내 석유·가스 개발을 제한했던 정책문서 3건을 공식 폐기한다고 발표했으며, 이로써 총 2300만 에이커(약 9만3000㎢)에 달하는 광범위한 지역에서 새로운 석유 시추 작업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는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했던 북극권 내 1060만 에이커의 임대 제한 조치를 사실상 되돌리는 것이며, 석유 및 천연가스 탐사·생산을 확대하겠다는 강력한 정책 방향 전환을 의미한다.
미국 내무부 장관을 맡았던 관계자는 이번 조치에 대해 “바이든 행정부의 접근은 에너지 생산을 막는 반(反)성장 전략이었다”며 “트럼프의 정책은 해당 매장지의 본래 목적에 부합하는 올바른 방향”이라고 강조했다.
■ ‘시추 확대’ 넘어 LNG 수출 인프라까지 겨눈 전략…정치·산업 효과 동시 노려
트럼프의 이번 조치는 단순한 북극권 내 석유 생산 확대에 그치지 않는다. 그는 알래스카 횡단 LNG 수출 프로젝트 재추진을 위한 정책 기반도 함께 마련하고 있으며, 이는 △알래스카 북부의 천연가스를 생산해 남부 항만으로 수송 후 △아시아 지역에 수출하는 중장기 전략의 일환이다.
알래스카 가스관(AK-LNG 프로젝트)은 약 800마일(약 1300km)에 달하는 대형 인프라 사업으로, 환경 규제 및 자금조달 문제로 수년간 지연돼 왔다. 그러나 트럼프의 규제 완화 및 에너지 자급 선언은 해당 프로젝트의 재가동 명분을 강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 재추진은 에너지 안보와 일자리 창출을 동시에 내세우는 트럼프 특유의 정치적 서사와도 맞물린다. 에너지업계 내부에서는 엑슨모빌(ExxonMobil), 코노코필립스(ConocoPhillips), 힐코프(Hilcorp) 등 기존 알래스카 내 사업 주체들이 적극적으로 재검토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 환경·원주민 반발 변수 남아…정치권 내 공방 불가피
하지만 트럼프의 결정이 전면 실행되기까지는 상당한 논란과 저항도 예상된다. 특히 환경단체와 알래스카 원주민 공동체는 생태계 파괴와 전통 지역 침해 우려를 이유로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가 보호구역 지정 및 임대 제한을 통해 기후위기 대응 및 지역 공존을 강조했던 만큼, 이 같은 급진적 방향 전환은 정치권 내 치열한 공방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민주당 중심의 연방 규제기관이나 법원에서 행정명령의 법적 타당성을 문제 삼을 가능성도 있어, 단기간 내 시추가 대규모로 이뤄지기에는 제도적·정치적 장벽이 여전히 존재한다.
■ ‘트럼프 에너지노믹스’ 재등장…알래스카는 에너지 패권의 전초기지 될까
이번 조치는 트럼프의 전형적인 에너지 정책 노선인 ‘미국 우선 에너지 독립’ 전략의 연장선이다. 석유·가스 시추를 통한 공급 확대, 수출 기반 인프라 구축, 환경 규제 최소화 등의 흐름은 그의 재집권 시 시나리오로 다시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
만약 이번 정책 전환이 실제 시추와 인프라 개발로 이어질 경우, 알래스카는 북미 에너지 수출 허브이자 러시아·중동에 대한 에너지 견제 축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국제 유가, LNG 수급 흐름, 탄소중립 전략 등에도 파급효과가 예상된다.
- 미국,EU에 15% 관세 합의...미 에너지 매년 2500억 달러 구매 포함
- 미국, 일본과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공동 개발 추진
- 대만 CPC, 美 셰일가스 자산 인수 검토… 에너지 안보 강화 본격화
- 트럼프 감세법안 하원 통과, 청정에너지 '역풍'
- 한국, 미국산 LNG 추가 도입 신중론… 경제성·수급 안정성에 의문
- [심층] 알래스카 LNG 사업 참여, “국가전략자산 vs 기후 역행”...국내외 찬반 양론
- [이슈]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단순 수익률 넘는 ‘국가 전략자산’으로 접근해야”
- 환경부, 환경성적표지 지침 전면 개정...탄소규제 대응 ‘고삐’
- 알래스카 석유·가스 개발 전면 확대...환경·에너지 갈등 격화 불가피
- EU, 미국산 LNG 장기계약 본격화… 엑슨모빌 ‘다음 단계’ 선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