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동신항연안여객선터미널의 '아리온 제주' 승선 모습. /KOMSA 제공
녹동신항연안여객선터미널의 '아리온 제주' 승선 모습. /KOMSA 제공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이 7월 25일부터 8월 10일까지 17일간 운영한 ‘하계 휴가철 특별교통기간’ 동안 연안여객선 140척이 총 1만 2247회 운항하며 여객 80만 5천여 명, 차량 19만 5천여 대를 안전 수송했다고 8월12일 밝혔다.

특히 중대 해양사고가 한 건도 발생하지 않으며 ‘무사고’ 기록을 달성, 여객선 안전관리 역량을 입증했다.

올여름 휴가철은 제8호 태풍 ‘꼬마이’의 간접 영향과 남부권 집중호우로 17일 중 7일간 풍랑특보가 발효됐다. 이 기간 운항 통제만 528회에 달했지만, 공단은 기상 악화에 따라 신속한 운항 조정과 안전조치를 병행했다. 그 결과 계획 대비 여객 수송률은 94.5%,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95% 수준을 유지했다. 차량 수송도 전년 대비 96%를 기록했다.

가장 붐빈 날은 8월 2일(토)로 약 7만 명이 승선했으며, 목포·완도·삼천포~제주 항로가 최다 이용 노선으로 14만6천명이 이동했다. 특히 제주 항로는 기상 영향을 비교적 덜 받는 카페리 중심 노선 특성상 전년 대비 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단은 이번 특별교통기간 대비를 위해 최근 5년간 수송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수송계획을 수립하고, 전국 연안여객선 145척을 대상으로 구명·소화설비, 항해·통신장비 특별점검을 실시했다. 또한 인천시의 ‘아이(i)-바다패스’ 시행에 따라 증가가 예상되는 인천 항로에는 공단 이사장이 직접 승선해 안전 점검을 진행했다.

운항 중에는 재난안전통신망을 활용한 특별교통대책본부 운영, 종사자 안전교육, 전기차 화재 예방교육, 비상훈련 등을 병행했다. 디지털 기반 정보 서비스도 확대해 △내일의 운항 예보 △MTIS(해양교통안전정보시스템) 연계 교통정보 △네이버·카카오 플랫폼 실시간 운항 안내 △드론 촬영을 통한 터미널 혼잡도 안내 등을 제공했다.

올해 특별교통기간에는 선박 속구 손상 등 경미한 사고 1건만 발생해, 지난해(4건) 대비 75% 감소했다. 공단은 기상청과의 협업을 통해 항로별 기상 분석과 맞춤 운항 예보를 제공한 것이 안전 확보에 크게 기여했다고 분석했다.

김준석 이사장은 “기상 악화 속에서도 현장 판단과 정보 제공을 결합해 안전 수송을 달성했다”며 “다가올 추석 연휴에도 국민이 안심하고 여객선을 이용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