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이 항만시설 보안심사를 처음 시행하는 충남 보령 신보령화력부두 전경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이 항만시설 보안심사를 처음 시행하는 충남 보령 신보령화력부두 전경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이 민간이 운영하는 항만시설에 대한 첫 보안심사를 현장에서 수행하며 공공기관 주도의 항만보안 체계가 본격적으로 가동됐다. 공단은 16일 충남 보령시 신보령화력부두에서 보안심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신보령화력부두는 한국중부발전이 운영하는 전용 부두로, 지난해 43척 선박이 105회 이용하며 약 400만 톤의 석탄을 처리한 국가 에너지 수급 핵심 인프라다. 이번 심사는 지난 7월, KOMSA가 「국제항해 선박 및 항만시설의 보안에 관한 법률」에 따라 민간운영 항만시설 보안심사 대행기관으로 지정된 이후 실시된 첫 현장 점검이다.

그간 (사)한국선급이 주도해온 보안심사 업무를 KOMSA가 함께 맡게 되면서, 공공성이 강화된 보안 점검 체계가 마련됐다. 심사는 △보안계획 이행 여부 △출입통제 체계 △보안 시설 및 운영 기준 준수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공단은 올해 하반기 대산·군산·평택·동해 등 12개 항만시설에 대한 심사를 순차적으로 실시하고, 내년에는 전국 120곳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2027년 5월부터는 전국 약 190개 민간운영 항만시설에 대한 보안심사를 전면 시행해 국가 차원의 보안체계 확립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현재 KOMSA는 항만시설 보안심사관 21명을 보유하고 있으며, 12명을 추가 양성 중이다. 정부와 협력해 선박·항만의 사이버 보안 관련 법·제도 정비와 국민 대상 교육·홍보 활동도 추진할 예정이다.

김준석 이사장은 “공공기관 주도의 보안심사 개시로 항만보안의 공공성과 전문성이 한층 강화될 것”이라며 “국가 보안체계 일원으로서 관계기관과 협력해 보안 위협에 선제 대응하고 안전한 항만 환경을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제목 추천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