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이 어선사고 다발 지역인 통영에서 어업인 대상 해양안전 현장 간담회를 열고, 낚시어선·어장관리선 등 선박 4척에 대한 안전 점검을 병행했다.
이번 간담회는 해양수산부가 지정한 ‘인명피해 저감을 위한 특별 계도기간(9~11월)’에 맞춰 마련됐으며, 공단의 ‘2025년 가을‧겨울철 선제적 해양사고 예방대책’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공단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2024년) 통영지사가 관리하는 6573척 중 968척(9.5%)에서 해양사고가 발생했고, 이로 인한 사망·실종자는 27명에 달한다. 이는 전국 18개 지사 중 상위권에 해당하는 수치로, 통영이 해양사고 인명피해 예방의 중요 거점임을 보여준다.
지난 9월16일 통영 영운항 어업인센터에서 열린 간담회에는 마을 이장, 지역 어업협회장, 낚시어선연합회장, 선주 등 60여 명이 참석했다. 김준석 이사장은 직접 현장을 주재하며 최근 사고 현황을 공유하고, △어선원 안전·보건 주요 제도 △2인 이하 승선어선 구명조끼 착용 의무화(10월 19일 시행) △해양교통안전정보시스템(MTIS) 활용법 등을 안내했다. 또한 남해권 스마트 선박안전지원센터 건립 추진 현황과 제도 개선 사항도 소개해 어업인의 관심을 끌었다.
공단은 현장에서 낚시어선과 어장관리선 4척을 대상으로 항해·통신 장비, 구명설비, 기관·전기 설비 등 안전 점검을 실시하고, 벨트형 구명조끼, 선내 소화기, 화재탐지장치, 응급처치 세트 등 안전 물품을 지원했다. 전문 정비업체가 함께 참여해 취약 부위 정비도 병행했다.
김준석 이사장은 “자율적 안전관리 문화가 현장에 정착할 수 있도록 지역 어업인의 의견을 경청하고 특성에 맞는 대책을 지속 추진하겠다”며 “어업인 스스로도 안전수칙 준수와 구명조끼 상시 착용 등 사고 예방에 적극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 공단은 이번 통영을 시작으로 여수·인천 등 6개 지역에서 현장 간담회를 이어갈 계획이다.
- KOMSA, 4회 연속 'Best-HRD' 인증
- KOMSA, 민간 항만시설 첫 보안심사 개시…2027년 전국 확대
- 해수호봇, 출시 9개월 만에 1만명 돌파
- 해양교통안전공단, 가을 성어기 안전사고 경보음
- "섬 주민 교통권은 기본권” 연안여객선 공영제 도입 논의 본격화
- 여객선 전기차 화재 합동훈련… 추석 연휴 해상안전 총력
- KOMSA, 가을‧겨울 해양사고 선제 대응…고위험 선박 집중 관리
- KOMSA, 여객선 안전관리책임자 교육 강화
- AI·HDPE 결합한 친환경 어선 '카이브3호', 어업인 호평
- KOMSA, 48개 사업장 위험성 평가
- KOMSA, 중소형 선박 설계·승인 통합 소프트웨어 개발 박차
- KOMSA, 사내벤처로 메타버스 안전교육·AI 선박 설계 서비스 개발
- KOMSA, 어선보험 필수 서류 전자문서 서비스 도입
- KOMSA, 국정자원관리원 화재 속 비상대응체계 가동
- 해양교통안전공단, 친환경선박 지원 녹색금융 활성화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