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은 추석을 앞둔 지난 9월2일 충남 보령 대천항 인근 신한고속훼리호(344톤급, 정원 272명)에서 여객선 전기차 화재 대응 합동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훈련은 해양경찰·소방당국, 여객선사 등 100여 명이 참여해 초기 진화부터 여객 대피, 합동 진압까지 전 과정을 실전처럼 재현했다.
이번 훈련은 특히 재난안전통신망을 처음으로 활용해, 공단 운항상황센터가 드론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현장을 실시간 확인하고 무전을 통한 협력 체계를 점검했다. KOMSA는 이를 통해 기관 간 공조 대응 능력을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전국 여객선 149척 중 117척(78.5%)이 전기차를 실을 수 있다. 지난해에만 약 2만3천 대의 전기차가 여객선을 이용한 만큼, 화재 대응 역량 강화는 필수 과제로 꼽힌다. 전기차 화재는 배터리 열폭주로 섭씨 1,000도까지 온도가 치솟고, 유독가스와 재발화 위험이 뒤따르기 때문에 일반 화재보다 훨씬 대응이 어렵다.
공단은 이번 훈련을 지난 4월부터 추진 중인 해양수산부와의 전기차 화재 대응 장비 보급사업과 연계해 진행했다. 차량 하부 냉각 분사장치, 질식소화덮개, 소방원 보호장비, 열화상 CCTV 등이 보급되고 있으며, 현장 교육과 가이드라인 배포도 병행되고 있다. 또한 「선박소방 설비기준」 개정을 통해 자동차 운송 선박의 전기차 화재 대응 장비 의무화도 곧 시행될 예정이다.
김준석 KOMSA 이사장은 “이번 합동훈련은 추석 연휴 해상교통 안전 확보를 위한 선제적 조치”라며, “예방부터 대응까지 이어지는 안전관리 체계를 공고히 해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바닷길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 KOMSA, 가을‧겨울 해양사고 선제 대응…고위험 선박 집중 관리
- KOMSA, 여객선 안전관리책임자 교육 강화
- KOMSA, 48개 사업장 위험성 평가
- KOMSA, 중소형 선박 설계·승인 통합 소프트웨어 개발 박차
- KOMSA, AI로 해양안전 혁신… 'AX혁신추진단' 출범
- "섬 주민 교통권은 기본권” 연안여객선 공영제 도입 논의 본격화
- 해양교통안전공단, 가을 성어기 안전사고 경보음
- 해수호봇, 출시 9개월 만에 1만명 돌파
- KOMSA, 민간 항만시설 첫 보안심사 개시…2027년 전국 확대
- KOMSA, 4회 연속 'Best-HRD' 인증
- KOMSA, 통영 어업인 간담회 개최…"구명조끼 착용 생활화" 강조
- KOMSA, 사내벤처로 메타버스 안전교육·AI 선박 설계 서비스 개발
- KOMSA, 어선보험 필수 서류 전자문서 서비스 도입
- KOMSA, 국정자원관리원 화재 속 비상대응체계 가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