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이 주최한 정책토론회에서 연안여객선 공영제 단계적 도입이 섬 주민 교통권 보장을 위한 핵심 해법으로 제시됐다.
9월3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섬 주민 교통권 확보를 위한 정책토론회’에는 국회·정부·학계·업계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유럽의 공공서비스 의무제(PSO, Public Service Obligation) 사례를 참고해, 국가가 해상교통을 직접 책임지는 방향으로 국내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집중됐다.
발제를 맡은 장철호 한국섬진흥원 부연구위원은 “연안여객선은 단순한 민간 수송수단이 아니라 섬 주민의 생존과 생활을 지탱하는 국가기간교통망”이라며 “국가가 책임지는 공영제를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관련 법·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노르웨이와 이탈리아의 PSO 사례를 소개하며, 최소한의 교통망을 국가 책임으로 제도화하는 것이 섬 주민 ‘기본교통권’ 보장의 출발점이라고 설명했다.
패널 토론에서는 연안여객선이 필수 공공교통수단이라는 점에 공감대가 형성됐다. 이문규 KOMSA 운항본부장은 “국가보조항로의 공공 전환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절감된 비용을 안전과 서비스에 재투자해야 한다”며, AI 기반 스마트 승·하선 체계 도입 등 혁신적 접근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현행 수작업 발권으로 인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교통카드 기반의 신원확인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준석 KOMSA 이사장은 “섬 주민의 교통권은 헌법이 보장한 기본권”이라며 “공단은 정부·지자체와 협력해 섬 교통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국민 모두가 안심할 수 있는 해상 대중교통 환경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 여객선 전기차 화재 합동훈련… 추석 연휴 해상안전 총력
- KOMSA, 가을‧겨울 해양사고 선제 대응…고위험 선박 집중 관리
- KOMSA, 여객선 안전관리책임자 교육 강화
- KOMSA, 48개 사업장 위험성 평가
- KOMSA, 중소형 선박 설계·승인 통합 소프트웨어 개발 박차
- KOMSA, AI로 해양안전 혁신… 'AX혁신추진단' 출범
- 태풍·집중호우에도 80만명 수송…연안여객선 중대사고 ‘0’
- “선박 10척 중 1척 감긴다”… 해양안전 새 리스크 ‘부유물감김’
- ‘현장 실전 돌입’ 어선원안전감독관, 해양 안전정책 전면 배치
-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연안여객선 휴가철 ‘총력 안전대책’
- KOMSA, 연안여객선 공공관리 10년…'중대사고 0건' 의 신뢰
- 고령·외국인 선원 안전까지 챙긴다… KOMSA, 현장형 보건관리 홍보 강화
- 해양교통안전공단, 가을 성어기 안전사고 경보음
- 해수호봇, 출시 9개월 만에 1만명 돌파
- KOMSA, 민간 항만시설 첫 보안심사 개시…2027년 전국 확대
- KOMSA, 4회 연속 'Best-HRD' 인증
- KOMSA, 통영 어업인 간담회 개최…"구명조끼 착용 생활화" 강조
- KOMSA, 사내벤처로 메타버스 안전교육·AI 선박 설계 서비스 개발
- KOMSA, 어선보험 필수 서류 전자문서 서비스 도입
- KOMSA, 국정자원관리원 화재 속 비상대응체계 가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