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버려진 폐그물이 어업 현장의 새 자원으로 돌아왔다.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은 전남 고흥군 죽도·지죽도 어촌계와 함께 해양폐기물을 어업 용품으로 재활용하는 자원순환 활동을 전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활동은 공단의 사회공헌 브랜드 ‘온물결(ON-WAVE)’을 기반으로 한 ESG 경영 실천의 일환이다. 공단은 사회적기업 스몰액션㈜, 어촌신활력증진사업 조직과 함께 ‘온 더 보트(On the Boat)’ 프로젝트를 추진해, 단순 폐기물 수거를 넘어 공공기관-사회적기업-어촌공동체가 협력하는 지속가능한 자원순환 모델을 구현했다.
어업인들이 직접 수거한 폐그물과 로프 약 250kg은 가공 과정을 거쳐 어업용 팔레트(운반대) 50개와 접이식 어구박스 50개로 재탄생했다. 이를 통해 약 425kg의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효과가 있었는데, 이는 성목 18그루가 1년간 흡수하는 탄소량과 맞먹는 수준이다.
폐그물 재활용은 환경적 의미뿐 아니라 해양안전과도 직결된다. 공단에 따르면 최근 10년간(2015~2024년) 해양사고 중 선박이 부유물에 감기는 사고가 88% 증가했으며, 전체 해양사고의 11.2%를 차지했다. 사고 원인의 상당수가 무단으로 버려진 어망·로프 등 폐기물이어서, 이번 활동은 안전사고 예방 차원에서도 큰 의미를 갖는다.
정부가 공공부문 ESG 경영 확대를 주요 정책 방향으로 설정한 가운데, KOMSA는 이번 성과를 계기로 폐그물 재활용 작업복 제작, 안전용품 업사이클링 등 다양한 자원순환 프로그램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김준석 이사장은 “이번 활동은 바다 환경보호를 넘어, 어촌공동체와 함께 안전과 순환경제를 실현한 뜻깊은 과정이었다”며 “앞으로도 어업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ESG 활동을 지속해 공단의 사회가치 브랜드 ‘온물결’을 현장에서 구현하겠다”고 밝혔다.
- KOMSA, AI로 해양안전 혁신… 'AX혁신추진단' 출범
- 태풍·집중호우에도 80만명 수송…연안여객선 중대사고 ‘0’
- “선박 10척 중 1척 감긴다”… 해양안전 새 리스크 ‘부유물감김’
- ‘현장 실전 돌입’ 어선원안전감독관, 해양 안전정책 전면 배치
-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연안여객선 휴가철 ‘총력 안전대책’
- KOMSA, 연안여객선 공공관리 10년…'중대사고 0건' 의 신뢰
- 고령·외국인 선원 안전까지 챙긴다… KOMSA, 현장형 보건관리 홍보 강화
-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10대 재난 유형별 대응체계 수립
- 마을어장에 '수상낚시터' 허용…어촌 소득·국민 안전 모두 잡는다
- KOMSA, 항만시설 보안심사 공공성 강화…전국 확대 본격화
- KOMSA-카카오, 손안의 여객선 정보…디지털 해상안전 서비스 확대
-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공공 전환 10년·출범 6년… 해양안전 강화 결의
- KOMSA, 계선(繫船) 신고 실시간 관리체계 도입
- 여객선터미널이 문화쉼터로…KOMSA, 울릉도서 북콘서트 개최
- KOMSA, 중소 조선기자재 수출 지원 본격화
- KOMSA, 드론으로 바다 지킨다…연안여객선 ‘입체 안전망’ 본격 가동
- 3D맵핑·수중드론이 바꾼 해양안전
- “친환경 선박 검사, 스마트하게” KOMSA, 지역 해양안전 거점 구축
-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연안여객선 서비스·보안 혁신 본격화
- [인사]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 재계 4위 LG, 2018년 대비 온실가스 19% 감축...“2050 탄소중립 향해 실질적 전환 가속”
- KOMSA, 48개 사업장 위험성 평가
- AI·HDPE 결합한 친환경 어선 '카이브3호', 어업인 호평
- KOMSA, 여객선 안전관리책임자 교육 강화
- KOMSA, 가을‧겨울 해양사고 선제 대응…고위험 선박 집중 관리
- KOMSA, 민간 항만시설 첫 보안심사 개시…2027년 전국 확대
- KOMSA, 4회 연속 'Best-HRD' 인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