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최근 5년간 원인을 알 수 없는 '미확인단락' 전기화재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재산·인명피해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간사, 목포시)이 한국전기안전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체 전기화재 중 미확인단락이 차지하는 비중이 2020년 28.1%에서 2024년 35.1%로 꾸준히 증가했다.

올해 6월 기준으로는 전체 전기화재 4,201건 중 1,615건이 미확인단락으로 발생해 38.4%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더욱 높아진 수치로, 전기화재 원인 파악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재산피해 규모도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미확인단락으로 인한 재산피해는 2020년 474억 원에서 2024년 1,154억 원으로 2.4배 증가했다. 올해는 6월말까지만 517억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인명피해 역시 심각하다. 전체 전기화재 인명피해 중 미확인단락이 차지하는 비중이 2020년 57.5%에서 2024년 74.7%로 17%포인트 급증했다. 미확인단락 전기화재로 인한 사망자는 2020년 25명에서 2024년 31명으로, 부상자는 193명에서 247명으로 각각 늘었다.

최근 6년간(2019~2025.6) 미확인단락으로 발생한 전기화재는 총 15,297건에 달했으며, 이로 인한 인명피해는 1,364명, 재산피해는 4,740억 원에 이른다.

한국전기안전공사는 미확인단락 전기화재 증가 원인으로 산업 고도화와 주거환경 변화를 지적했다. 대형·고층건물이 늘어나면서 화재 발생 시 진화 활동이 어려워졌고, 진화 과정에서 현장이 전소되거나 훼손되면서 단락 흔적의 원인 분류에 한계가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확인단락은 전기적 요인으로 화재가 발생했지만 접촉분량, 절연열화, 압착·손상, 트래킹 등 뚜렷한 원인을 특정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김원이 의원은 "최근 전기화재 10건 중 3건 이상이 '원인 미상' 단락으로 인한 것으로, 피해 규모도 해마다 커지고 있다"며 "AI 분석 기술과 사고조사 체계를 정비해 화재가 난 뒤 수습하는 방식이 아니라 미리 찾아 막는 '사전예방형 전기안전'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전기화재 원인 규명을 위한 과학적 분석 시스템 도입과 함께 예방 중심의 안전관리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