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정부가 2035년까지 전력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최대 79% 이상 줄이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현재의 3배 수준인 최대 37%까지 끌어올리고, 원자력 발전은 30%대를 유지하는 에너지 믹스 전환 계획을 발표했다.
환경부는 23일 서울 서초구 한전아트센터에서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수립을 위한 전력 부문 토론회를 개최하고, 전력 부문의 구체적인 탄소 감축 방안을 공개했다.
전력 생산 부문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면서도 감축 잠재력이 큰 분야로 평가받는다. 실제로 전력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8년 2억8,300만톤에서 작년 2억1,830만톤으로 6년간 6,470만톤이나 감소했다.
정부는 이날 2035 NDC 4개 후보안별로 전력 부문의 감축 목표를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가장 보수적인 '48% 감축안'에서도 전력 부문은 68% 감축해야 하며, 가장 적극적인 '65% 감축안'에서는 79% 이상의 대폭 감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부는 2035년 전력 수요가 작년(550TWh) 대비 12.6% 증가한 619TWh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인공지능 산업 발달과 전기차 확산이 전력 수요 증가를 이끌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따라 현재 34GW인 재생에너지 설비 용량을 2035년 최소 130GW에서 최대 160GW 이상으로 대폭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현재의 4배가 넘는 규모다.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현재 9%에서 최대 37% 이상으로 4배 가까이 확대된다.
반면 원자력 발전은 현재 32% 수준인 30%대를 유지하되, 절대 발전량은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계획됐다. 가장 적극적인 감축 시나리오에서도 원자력 발전량을 231TWh 이상(31% 이상) 유지하기로 했다.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은 대폭 축소된다. 현재 각각 28%씩 차지하고 있는 두 화석연료 발전원은 2035년 석탄 5% 이하, LNG 11% 이하로 줄어들 전망이다.
특히 61%와 65% 감축안에서는 석탄 발전량을 35TWh 이하(5% 이하), LNG 발전량을 83TWh 이하(11% 이하)로 대폭 줄이는 것으로 설정됐다.
정부는 발전원 전환과 함께 배전·변전설비에서 사용하는 온실가스 육불화황(SF6)을 친환경 물질로 조기 대체하기로 했다. 154kV 이하 변전설비는 당초 목표보다 5년 앞당긴 2035년까지 전면 대체하고, 154kV 초과 설비는 50%를 대체하기로 했다.
정부는 내달 14일까지 총 5차례의 추가 토론회를 통해 각계 의견을 수렴한 후 2035 NDC 정부안을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 2035년 NDC 61%...기후솔루션, “과도한 부담 아닌 산업전환의 기회”
- “기후에너지환경부, 탈탄소 컨트롤타워 될 것”
- 환경부, 2026년 UN 기후주간 국내 유치 본격화
- 한국·유엔, 2035년 NDC 조기 제출 협의...“책임 있는 감축목표 수립”
- "기후 대응은 국가의 법적 의무"...국내외 환경단체, 2035 NDC 대폭 상향 촉구
- [분석] ‘에너지 대전환’ 앞세운 경제성장 전략...“탄소감축·산업고도화 동시 달성”
- 국회, NDC 하한선 명문화 개정안 발의...2050 탄소제로 압박 수위 높인다
- 정부, 온실가스 감축 발표...산업부문 증가에 2030 NDC 달성 ‘경고등’
- 정부, '히트펌프' 2035 NDC에 포함 결정
- 각국 NDC 이행 전략 한자리에...온실가스 학술회 8월1일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