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덴마크가 40년간 유지해온 원자력발전 금지 정책을 공식적으로 재검토하겠다고 발표했다. 에너지 기후부 장관 라르스 오가르드(Lars Aagaard)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차세대 원전 기술의 잠재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며, 덴마크 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을 고려한 정책 검토에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덴마크는 1985년부터 전통적 원자로 건설을 법적으로 금지해온 유럽 내 대표적인 ‘탈원전 국가’ 중 하나다. 하지만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현재 전력의 80% 이상을 풍력·바이오·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로 공급하면서도, 간헐성과 안정성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비화석 기저부하’ 전원으로 원전이 다시 거론되고 있다.
전직 총리 안데르스 포 라스무센(Anders Fogh Rasmussen)도 “햇볕이 없고 바람이 불지 않을 때를 대비한 기저부하 전원이 필요하다”며, 기존 원전 금지법을 “터무니없는 규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 정부 발표는 금지 철회로 가는 수순일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덴마크뿐 아니라 유럽 전역에서 원전 정책 재조정이 가속화되고 있다. 스페인은 최근 대규모 정전 이후 7기의 원자로 폐쇄 계획 재검토에 착수했고, 독일 역시 러시아산 가스 수입 중단 이후 원전 재가동 논란이 되살아났다. 반면 영국과 프랑스, 벨기에는 기존 원전 수명 연장을 결정했으며, 프랑스는 신규 6기 건설 계획도 추진 중이다.
소형모듈원자로(SMR)는 기존 대형 원전에 비해 공장 조립·현장 설치 방식으로 건설기간 단축과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구글 등 빅테크 기업들도 데이터센터의 24시간 전력공급원으로 SMR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
덴마크의 대표적인 재생에너지 기업이자 세계 최대 해상풍력 기업인 외르스테드(Ørsted)조차 최근 고금리, 공급망 불안 등의 영향으로 대형 프로젝트인 영국 혼시아 4단계(Hornsea 4) 해상풍력 계획을 취소하면서, 에너지믹스의 재검토 압력이 더욱 커지고 있는 형국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