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글로벌 그린에너지 투자개발사 코펜하겐 인프라스트럭쳐 파트너스(CIP)는 지난 5월 16일부터 ‘전남해상풍력 1’ 프로젝트가 상업운전에 들어갔다고 21일 밝혔다. 이는 SK이노베이션 E&S와 공동으로 개발한 국내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민간 주도 해상풍력 발전단지로, 본격적인 대규모 해상풍력 시대의 개막을 알리는 신호탄이다.
‘전남해상풍력 1’은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도 북서쪽 약 9km 해상에 위치한 96MW 규모의 단지로, 9.6MW급 풍력터빈 10기가 지난해 12월까지 설치 완료되어 올해 초 시운전을 거쳤다. 연간 약 3억107만kWh의 전력을 생산해 약 9만 가구에 전력 공급이 가능하며, 이는 석탄화력 대비 연간 약 24만 톤의 탄소 감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수준이다.
이 프로젝트는 민간이 별도 보증 없이 자체 신용을 바탕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비소구(Non-Recourse) 방식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통해 추진됐다. 다양한 규제와 인허가 절차를 민관 협력을 통해 극복한 사례로, 향후 해상풍력 후속 사업에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CIP는 국내 기자재 및 시공 기업과의 긴밀한 협력 하에 발전설비의 주요 부품과 설치 장비의 국산화를 실현했으며, 지역 항만 및 기반 시설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지역 경제 활성화와 주민과의 상생에도 기여했다. 이 과정에서 국내 해상풍력 전문인력의 양성과 기술 역량 강화도 함께 이루어졌다.
CIP 아시아∙태평양(APAC) 대표 토마스 위베 폴센은 “이번 상업운전 개시는 CIP와 협력 기업 모두에게 매우 의미 있는 이정표”라며 “한국 해상풍력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국내 파트너 및 정부와의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18년 한국 시장에 진출한 CIP는 이후 지속적인 해상풍력 투자를 이어가며 국내 재생에너지 시장의 핵심 투자자로 자리잡고 있다.
- 노르웨이, 부유식 해상풍력에 3.4조원 베팅… Utsira Nord 입찰 개시
- 6조원 해상풍력 다시 출항… 에퀴노르 "청정에너지 전환 견인"
- 한국 LCOE 분석 결과, 태양광 2030년 가장 저렴한 발전원 전망
- 제주, 풍력발전 고시 개정 착수
- 덴마크, 40년 원전 금지 재검토…SMR 도입 신호탄?
- 한국, ‘에너지 선매권’ 제도… 위기대응 법제의 사각지대
- 英 정부, 해상풍력 민간투자 유도 위해 '청정산업 보너스' 대폭 증액
- [에너지 인사이트] 전남해상풍력1, 국내 에너지 시장에 의미 있는 이정표
- 멈춘 일본 해상풍력, 규제 개편이 해법 될까…"2040년 목표 달성 빨간불"
- CIP-금투협, 재생에너지 투자 손잡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