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기후위기 대응의 사각지대로 꼽히던 대학 캠퍼스가 본격적인 탄소중립 실천 무대로 전환되고 있다.
한국에너지공단(공단)은 27일 서울 중구 컨퍼런스하우스에서 서울 지역 주요 15개 대학과 함께 ‘서울CAN(Campus Action on Net-zero)’ 협의체를 공식 출범시키고, 캠퍼스 탄소중립 협력체계 구축을 선언했다.
서울CAN은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서울대, 연세대, 이화여대, 한양대 등 수도권 주요 대학이 참여하는 대학 중심의 탄소중립 실천 협의체로 대학 간 정보 공유 및 공동 대응을 통해 실질적인 탄소감축 성과 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협의체 출범은 △대학 내 노후된 에너지 시스템 개선 △캠퍼스 내 신재생에너지 확산 △에너지자립 기반 구축 등 실질적인 전환이 시급하다는 인식에서 비롯됐다.
특히 정부 정책과 민간 투자를 연계한 에너지 신사업 모델 발굴 및 자금 조달 방안 마련 등 대학의 지속가능한 에너지 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전방위 지원이 예고됐다.
서울CAN은 실무 협의체 중심으로 △대학별 탄소중립 전략 수립 지원 △고효율 설비 적용 사례 및 기술 정보 공유 △우수 캠퍼스 견학 프로그램 △에너지 전문 뉴스레터 발간 등을 통해 대학 간 상호 학습과 협업 네트워크를 활성화한다는 방침이다.

“대학, 탄소중립 사회 전환의 핵심 주체”
공단은 “서울CAN은 단순한 선언이 아닌, 실행 중심의 협력 플랫폼”이라며 “대학이 보유한 인적·기술적 자원을 지역사회와 연계할 경우, 탄소중립 사회 전환을 견인할 핵심 축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영배 에너지공단 지역에너지복지이사는 “이제 대학도 탄소중립의 책임 있는 주체로 나서야 할 시점”이라며 “공단은 정책, 기술, 네트워크 측면에서 서울CAN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캠퍼스는 도시와 산업의 축소판이다. 넓은 부지와 고정된 에너지 수요를 갖춘 대학이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실증 무대이자 확산 거점으로 기능할 가능성은 크다. 서울CAN의 출범은 그 상징적인 출발점이다.
탄소중립은 선언이 아니라 실행이다. 전국 지자체가 경쟁하듯 탄소중립 정책을 수립하는 지금, 대학이란 교육·연구기관도 이젠 에너지 전환의 최전선에 설 준비를 해야 한다. 서울CAN이 그 변화를 선도할 수 있을지, 전국 대학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분석] 올 상반기 풍력·태양광 경쟁입찰, 공급망 · 안보 요소 대폭 강화
- [에너지 인사이트] 분산특구 선정, 안정적 계통 연계 방안이 과제
- 대한민국 전력 지도가 바뀐다...궤도 오른 ‘분산에너지특구’
- 정부, ‘찾아가는 권역별 순회설명회’ 개최
- 에너지公, 에너지취약계층 돌봄서비스 제공
- 에너지公, ‘탄소중립 에너지절감 컨설팅’ 확대
- 에너지公, 보일러 제조사와 취약계층 ‘일산화탄소 경보기’ 지원
- 의류 산업 탄소중립 발맞춘다...환경부, ‘의류 환경협의체’ 출범
- 에너지公, 우즈벡에 에너지 한류 전파
- 20주년 맞은 아시아 클린에너지 포럼, 에너지公-ADB 공동 개최
- 에너지公, 2025년도 에너지바우처 접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