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한국전력(이하 한전)이 최대 주주로 참여하는 전북 서남권 400MW 해상풍력 시범 사업이 ‘2025년도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고정가격 경쟁입찰’에서 최종 선정됐다. 이번 사업은 공공주도형 입찰 시장에서 낙찰된 4개 프로젝트 중 최대 규모다.
한전과 발전공기업이 100% 지분을 가진 한국해상풍력이 개발하는 이 사업은 정부가 2030년까지 추진하는 해상풍력 14.3GW 보급 목표 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공공 물량에 국산 터빈을 사용할 경우 약 6조 원의 수입대체 효과가 예상되어 국내 산업 생태계 활성화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한국에너지공단이 주관하는 이번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입찰은 공공기관 주도의 사업 추진과 국내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올해 처음 도입됐다. 낙찰 사업자는 생산 전력을 20년간 고정 가격에 판매할 수 있어 안정적인 수익 확보가 가능하다.
한전은 이번 사업을 통해 공공 주도 해상풍력 사업의 성공적인 모델을 구축하고, 재생에너지 확대와 에너지 전환 목표 달성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한국, APEC 에너지장관회의 공동선언문 첫 타결
- 정부, 한전 및 발전 자회사 대개혁 예고
- 한전, 부산서 'DC 시대' 개막 선언
- 한전, 글로벌 스마트그리드 2관왕
- [사설] 한-베트남, 에너지 협력 새 성장동력
- 한국-베트남 양국 정상 참석, 원전 파트너십 본격화
- 한전, 중대재해 '제로화' 선언
- 한전-독일 MR사 손잡다
- 한전, 하반기 620명 대규모 채용
- [에너지 인사이트] 해상풍력 인허가 가속화, 에너지 미래 달렸다
- 한전, 우수공급업체 인센티브 대폭 확대
- 한전-신복위 채무조정 협약
- 한전, 美 원전시장 진출 교두보 마련
- 한전 이사회 반대 의견에도 체코 원전 '노예계약' 합의문 통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