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부터 11월 16일까지 58일간 가을철 경부하기 전력계통 안정화 대책을 시행한다고 19일 발표했다. 하계 전력수급 대책기간이 끝나는 즉시 가동되는 이번 대책은 온화한 날씨 속 태양광 발전량 증가와 냉난방 수요 감소로 인한 전력 공급과잉 상황에 대비한 조치다.
정부는 수급균형을 위해 발전량 감축과 수요량 증대를 동시에 추진한다. 비수도권 석탄발전기 55대 중 필수운전발전기 13대를 제외한 모든 발전기를 정지시키고, 공공기관 자가용 태양광 운영도 최소화한다.
원전의 경우 정비일정을 조정해 주말과 추석 연휴기간 중 발전을 중단한다. 기존에는 정비 완료 후 즉시 운전에 들어갔지만, 이번에는 정비기간을 연장해 연휴기간 미발전 상태를 유지한다.
수요 증대를 위해서는 플러스 DR(수요반응) 제도를 활용해 공급과잉 우려시 전력수요를 인위적으로 창출한다. 태양광 연계 ESS(에너지저장시스템)의 충전시간도 낮 시간대로 조정해 태양광 발전력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선제적 조치에도 불구하고 추가 발전량 감축이 필요한 경우에는 경직성 전원에 대한 출력제어를 실시한다. 출력제어는 재생에너지를 전력망에 안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세계적 현상으로, 미국 CAISO 4%, ERCOT 6%, 일본 규슈 7% 등의 출력제어율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출력제어의 예측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전일 18시, 당일 09시, 출력제어 30분 전 총 3번의 사전안내를 실시한다. 또한 예비사업자들이 발전소 입지와 시기를 결정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연도별·권역별 출력제어 정보를 정기적으로 공개한다.
정부는 연내 '재생에너지 준중앙 제도(가칭)'를 설계해 계통안정화 성능을 구비한 재생에너지 설비 중 자발적으로 급전지시에 응동하는 자원에 추가정산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 제도는 내년 경부하기간부터 운영될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추석 연휴가 장기간 이어져 전력수요가 큰 폭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지난 16일 경부하기 수급상황 대응 모의훈련을 실시했다. 산업체 조업률이 낮아지는 주말과 연휴기간에는 발전량이 수요를 초과하는 공급과잉 상황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최연우 전력정책관은 "올 가을철 안정적인 수급관리와 국지적 계통불안정 해소를 위해 선제적 안정화 조치를 최대한 시행할 계획"이라며 "재생에너지 기반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해 경부하기 대책기간 운영, 계통안정화 설비 보강, 시장 제도 개편 등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