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너지공단 울산 본사 전경. / 한국에너지공단 제공
한국에너지공단 울산 본사 전경. / 한국에너지공단 제공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한국에너지공단(공단)이 재생에너지 자원안보의 중추기관으로 공식 지정되며, 국내 재생에너지 산업 생태계 안정성과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역할을 본격화한다.

공단은 7일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국가자원안보특별법’ 제7조에 따른 재생에너지 분야 자원안보 전담기관으로 지정받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공단은 앞으로 △재생에너지 핵심자원 정보관리 △자원안보 진단·평가 △공급망 점검 및 분석 등 자원안보법상 전담기관의 주요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이번 지정을 통해 재생에너지 자원과 설비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해졌으며, 석유(한국석유공사)와 천연가스·수소(한국가스공사), 우라늄(한국수력원자력), 핵심광물(한국광해광업공단) 등 타 에너지원별 전담기관과 함께 유기적 협력 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공단은 이번 지정과 동시에 신재생정책실 산하에 ‘자원안보팀’을 신설하고 해상풍력 경쟁입찰 제도에도 자원안보 지표를 반영하는 등 실효적인 정책 추진에 나섰다.

특히 지난 3월 제정된 「해상풍력 보급 촉진 및 산업 육성에 관한 특별법」과의 시너지를 통해 재생에너지 공급망 강화와 산업 육성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또 공단은 ‘재생에너지 공급망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2027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인허가 및 진행 현황 등을 통합 관리하는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정보시스템’을 단계적으로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자원안보와 보급정책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통합 플랫폼 체계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훈 이사장은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자원안보 관점의 정책 설계와 대응은 매우 중요하다”며, “공단은 재생에너지 산업의 중심축으로서 정책, 제도, 산업, 안보가 연계된 통합적 시스템 구축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공단은 올 1차년도 시스템 구축에 19억7000만원을 투입, 2027년까지 총 84억원을 들여 전국 단위의 통합 공급망 모니터링 체계를 완성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