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개최된 2025년 미래 지역에너지 생태계 활성화 사업 협약식에서 한영배 한국에너지공단 지역에너지복지이사(왼쪽에서 다섯번째)와 관계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 한국에너지공단 제공
18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개최된 2025년 미래 지역에너지 생태계 활성화 사업 협약식에서 한영배 한국에너지공단 지역에너지복지이사(왼쪽에서 다섯번째)와 관계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 한국에너지공단 제공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한국에너지공단(공단)이 지역 맞춤형 분산에너지 생태계 조성을 위한 실질적 행보에 나섰다. 공단은 18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2025년 미래 지역에너지 생태계 활성화 사업’ 주관기관으로 최종 선정된 8개 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분산에너지 기반 지역경제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번 사업은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시행에 따라 지역 특성에 맞는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확산하기 위한 것으로, 올해 총사업 규모는 87억원에 이른다.

특히 상반기 예정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에 대비해 다수의 지자체와 기업들이 경쟁적으로 참여해 광역지자체 기준 9개 지역에서 16개 기업이 신청하며 2.65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최종 선정된 주관기관은 △가나이엔지 △나인와트 △브이피피랩 △충북에너지산학융합원 △충북테크노파크 △드림 △한국엘이디 △헤리트 등 8곳이다.

선정 사업은 단순 재생에너지 보급을 넘어 전력망 현안 해결, 수요관리 효율화, 지역 경제 연계 활성화를 목표로 구성됐다.

주요 내용으로는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해소 △ESS(에너지저장장치)를 활용한 배전망 건설 대체 △공공기관 ESS 설치 의무화 대안 △건물 전력피크 감축 및 열 수요반응(DR) 운영 등이 포함된다. 일부 사업은 지역 관광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까지 노리는 전략적 모델로 설계됐다.

한영배 공단 지역에너지복지이사는 “지산지소(地産地消)형 에너지 구조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지역 주체 간의 긴밀한 협력과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지역 기반의 분산에너지 비즈니스 모델이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공단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올 하반기엔 ‘2026년 사업’을 조기 공고하고, 최대 60억원의 국고를 추가로 지원할 계획”이라며 “분산에너지 특화 지역을 준비 중인 지자체 및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드린다”고 강조했다.

한편 에너지공단은 이번 협약을 통해 지역 에너지 자립 기반 강화와 전력계통의 유연한 운영, 에너지 복지 확대라는 세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는 전략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