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해군 군수사령부 세미나 기념 사진. 이형철 KR 회장(첫줄 왼쪽에서 네 번째), 안상민 해군 군수사령관(첫줄 왼쪽에서 다섯 번 째)
KR-해군 군수사령부 세미나 기념 사진. 이형철 KR 회장(첫줄 왼쪽에서 네 번째), 안상민 해군 군수사령관(첫줄 왼쪽에서 다섯 번 째)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KR 해군 군수사령부가 지난 7월 24일 부산 한국선급 본사에서 '군수품 품질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세미나'를 공동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양 기관 간 정례 교류회의 일환으로 마련됐으며, 해군 함정의 안전성과 실전 대응력을 강화하기 위한 감항인증, 품질검사, 손상함정 복구진단 등 핵심 군수과제를 중심으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됐다.

■ 감항인증 제도화 논의… “해군 신뢰성 확보 위한 민·군 협력 필요”

세미나 참석자들은 먼저 해군 함정의 감항(艦航)인증 제도에 대해 논의했다. 감항인증은 함정이 안전하게 항해하고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지 검증하는 제도로, 해군 전력 운용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에 있어 필수적이다.

참석자들은 해당 제도의 도입 배경과 운영 방향에 대해 공유하며, 향후 법제화 및 표준화를 추진해 실질적인 제도 정착을 도모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민간 기술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제도 시행 초기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기술적 정합성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 과제로 부각됐다.

■ 정비 후 품질검사 기준 개선… “전비태세 유지와 직결”

세미나에서는 또한 함정 정비 후 실시되는 품질검사 기준과 절차에 대한 개선 방안도 논의됐다. 특히, 고도화된 검사체계와 평가 기준이 해군의 실전 대응능력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명확하고 객관적인 검사 기준 정립의 중요성이 강조됐다.

KR과 해군 군수사령부는 품질관리 역량이 단순한 점검 수준을 넘어, 실질적인 전투준비태세(전비태세)를 유지하는 기반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평가 기준의 과학화와 데이터 기반 분석 필요성에도 공감대를 형성했다.

■ 손상함정 복구체계 정립 논의… “실전 대응 위한 판단기준 절실”

전시 또는 해양사고 등으로 손상된 함정의 복구 진단 체계와 안전성 평가 기준 마련도 이번 세미나의 주요 의제였다. KR과 해군은 민간 인증기관의 전문성과 해군 운용 실무 경험을 접목한 기술 협력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았으며, 복구 여부를 판단하는 과학적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는 점도 확인했다.

박래홍 해군 군수사령부 품질관리처장은 “KR과의 협력이 해군 장비의 신뢰성 제고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며 “논의된 사항들을 바탕으로 완벽한 군수품 품질 확보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상수 KR 함정사업단장도 “해군과의 협업을 통해 감항인증 체계를 고도화하고, 품질 혁신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단순한 기술 교류를 넘어, 군수품 품질관리를 위한 민군 협력의 제도화·체계화 가능성을 제시한 사례로 주목된다. 감항인증, 복구진단, 검사기준 등은 모두 함정 운용의 생명줄과도 같은 요소이며, 민간 인증기관의 전문성과 과학적 접근 방식은 군 전력의 실질적 신뢰성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방산기술의 고도화와 군사안보 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민군 공동 기술기반 마련과 법제화를 통한 제도적 뒷받침이 향후 군수품 품질관리의 핵심 전략으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