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진우 기자] 원자력안전위원회가 다음달 열리는 APEC 정상회의 기간에 예상되는 원전 테러 등에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위원장 최원호, 이하 원안위)는 APEC 정상회의가 열리는 경주 인근 월성원자력발전소에 대한 물리적방호 체계를 점검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점검은 10월말 경주에서 개최되는 2025 APEC 정상회의 기간 동안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예상치 못한 테러 위협에 대한 준비태세와 대응체계 확인 차원에서 실시됐다.
원안위는 '원자력시설 등의 방호 및 방사능 방재 대책법'에 따라 원자력시설 등에 대해 3년마다 위협을 평가하고 물리적방호체계 설계·평가의 기준이 되는 위협을 재설정하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원안위가 설정한 위협을 기준으로 방호 관련 시설·장비를 확보해 운영하고 정기적으로 물리적방호훈련을 실시한다. 원안위는 한수원의 물리적방호훈련를 평가하고 취약점을 도출하여 보완대책을 마련한다.
최원호 위원장은 한수원으로부터 불순세력 울타리 침범(지상), 불법 드론 출현(대공), 미확인 선박 접근(해상) 등 다양한 위협 시나리오에 대한 대응체계를 보고 받았으며, APEC 기간에 강화되는 방호조치계획을 점검했다.
아울러 위협발생 시 지역 군경과 합동대응태세가 잘 작동되고 있는지 사전점검하기 위해 경계초소 등 원전 외곽 울타리 경계태세와 대응장비, 해안 감시장비, 대공방어장비 등을 확인했다.
최원호 위원장은 "원전 대상 테러는 심각한 방사능 사고로 직결될 수 있는 만큼 대비 태세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며 "한수원, 군경 등 유관기관 모두가 빈틈없는 방호체계를 유지해 달라"고 당부했다.
<용어 설명>
▲물리적 방호 : 핵물질과 원자력시설에 대한 안팎의 위협을 사전에 방지하고, 위협이 발생한 경우 신속하게 탐지해 적절한 대응조치를 하며, 사고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모든 조치
- 고리 2호기 재가동 연기···다음달 23일 안건 재상정
- 월성 2호기 중수 누설 사고 발생···정밀 조사 중
- 정부, "북한 평산 우라늄공장 폐수 우려 없다" 확인
- 원안위, 고리2호기 계속운전 논란 속 언론 보도 반박
- 원자력통제기술원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 획득
- 최원호 원자력안전위원장, IAEA 총회 참석
- 원자력안전위, 한빛 원자로 냉각재계통 압력·온도 제한치 변경
- 원안위, 한빛 5호기 정기검사 후 임계 허용
- "해외직구 공항 감시망 더욱 촘촘해진다"
- 원안위, 2926억원 내년도 예산안 국회 제출
- 2034년 i-SMR 첫 운전 전망...李 정부, 원전 르네상스 본격 시동
- 한수원·원자력환경공단, 데이터 활성화 MOU 체결
- 원안위, 방사능 유출·지진 '복합재난' 대응훈련 전개
- 신고리 1호기 정밀검사 결과 '안전'···가동 카운트 다운
- 원안위 홈페이지 15일 정상 가동
- APEC 정상회의, K-기업 도약 발판 마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