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 원전 전경/한국수력원자력 자료
한빛 원전 전경/한국수력원자력 자료

[투데이에너지 김진우 기자] 원자력안전위원회(위원장 최원호, 이하 원안위)가 올해보다 157억원 늘어난 2926억원의 새해 예산안을 국회에 제출한다고 4일 밝혔다.

원전 안전성 확인 및 방재시설 구축

원안위는 2026년도 예산안을 원자력 안전 확보와 방사선 재해로부터 국민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설계했다며, 가동 원전 및 건설 원전의 안전성을 철저히 확인하고 점검하기 위해 630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고 설명했다.

예산안에는 원전 정비 기간에만 하던 검사를 가동 중에도 실시하는 상시검사를 모든 원전에 확대 적용하도록 예산 10억원을 신규 반영했다.

현재 상시검사는 새울 2호기에 우선 적용 중이며, 2027년부터 모든 원전에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대규모 방사능 재난을 대비하기 위한 방재 기반 구축에도 19억원의 예산이 편성됐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같은 대규모 원전 사고에 대응하는 현장 대응 체계 구축이 목표다.

현재 한국에는 방사능 재난 대비 방재센터가 2곳 구축됐다. 2022년 5월 울주 광역센터와 올해 3월 한울 광역지휘센터가 준공됐다. 내년에는 한빛권 광역지휘센터(한빛원전 32km 지점)가 세워진다.

정보공유센터 구축 및 방사선 감시망 확충

원자력시설 주변 지역주민에게 원자력과 방사선 안전 정보를 투명하게 제공하기 위한 '원자력안전 정보공유센터' 구축과 운영에 예산 20억원을 새롭게 편성했다.

원안위는 이 센터를 통해 지역별 상황에 맞는 과학적 설명과 안내를 제공하고, 대면 소통을 강화해 국민 불안을 해소하고 신뢰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방사능 의심 물질의 국내 유입 감시를 위해 공항과 항만에 감시기를 설치, 운영한다. 이를 위해 예산 34억9000만원을 편성했다.

감시율을 올해 94.46%(공항 77.30%, 항만 94.51%)에서 내년 94.49%(공항 87.67%, 항만 94.51%)로 끌어올린다는 구상이다.

최원호 위원장은 "2026년도 원안위 예산은 국민안전을 증진하기 위한 사업들로 확대 편성했다"며 "본격적으로 집행되면 방사선으로부터 국민들을 더욱 체계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