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더스 말테센 ABB 에너지 산업 사업부 아시아 대표가 '2025 아시아태평양 에너지 전환 준비 지수' 한국 주요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 ABB코리아 제공
앤더스 말테센 ABB 에너지 산업 사업부 아시아 대표가 '2025 아시아태평양 에너지 전환 준비 지수' 한국 주요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 ABB코리아 제공

[투데이에너지 김진우 기자] 전기화 및 자동화 분야 리딩기업인 ABB가 산업 설문조사 '2025 아시아태평양 에너지 전환 준비 지수(Asia Pacific Energy Transition Readiness Index 2025)'의 한국 주요 결과를 4일 발표했다.

ABB 에너지 산업 사업부가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한국은 저탄소 미래를 향한 기술 기반 투자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응한 국내 에너지 업계 경영진 과반수(65%)가 인공지능(AI)과 자동화를 한국의 에너지 전환을 이끄는 핵심 동력으로 꼽았으며, 투자 우선순위는 디지털화(43%), 자동화(37%), 전기화(21%) 순이었다.

특히 디지털화 투자 비중의 경우 아태 지역 평균(38%)을 넘어서며 탈탄소화와 효율성 강화를 위한 기술 활용 측면에서 한국이 선도적인 위치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지수는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태평양 12개국, 10개 산업군에서 자동화, 전기화, 디지털화, 지속가능성 전략을 담당하는 4000여 명의 경영진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를 기반으로 했다. 조사에는 화학, 데이터센터, 에너지·발전, 제조, 석유·가스, 운송 등 에너지 집약 산업 전반이 포함됐다.

앤더스 말테센(Anders Maltesen) ABB 에너지 산업 사업부 아시아 대표는 "한국의 에너지 전환은 결정적인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며 "AI 기반의 에너지 관리와 스마트 그리드 솔루션에 대한 투자는 이제 필수적이며, 비용 효율성, 회복탄력성,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수단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규제에 부합하는 투자, 긴밀한 파트너십, 그리고 지속가능성 내재화를 실행에 옮길 때 비로소 실질적인 변화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조사 결과 한국은 기술 중심의 에너지 전환을 빠르게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기업이 디지털 트윈, 예측 분석, 규제 모니터링 등을 실제 운영에 도입해 설비 효율을 높이고 다운타임을 최소화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에너지 투자 안정성과 미래 대응력을 동시에 강화하고 있다.

기술이 에너지 운영의 핵심으로 부상하면서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 또한 커졌다. 특히 산업의 디지털화로 인해 연결되는 시스템과 데이터 기반의 활용 툴이 늘어나면서 운영 기술(OT) 보호는 반드시 대응해야 할 핵심 과제로 떠올랐다. 응답자의 92%가 현재 OT 보호를 위한 보안 체계를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에너지 전환의 디지털 기반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 회복탄력성과 신뢰 확보의 핵심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업계 전반에 걸쳐 에너지 전환 관련 투자 확대 움직임도 분명했다. 응답자 10명 중 6명 이상(68%)이 향후 5년간 전체 설비투자(CAPEX)의 10% 이상을 에너지 전환 계획에 할당할 예정이라 답했다. 또한 약 3분의 1(29%)은 민관 협력을 주요 기회 요인으로, 60%는 스마트 그리드 인프라 구축을 위한 역내 정부 간 협력의 중요성을 꼽았다.

국내 에너지 업계는 기존 인프라 효율화뿐 아니라 재생에너지 통합과 포트폴리오 다각화도 핵심 과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응답자의 18%는 이미 전체 에너지의 절반 이상을 재생에너지로 조달하고 있으며, 74%는 향후 5년 내 재생에너지 사용 비중이 2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 중 응답자의 65%가 이미 도입하고 있다고 답한 태양광은 한국의 에너지 전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전망이다.

이와 함께 그린수소(46%)와 풍력(42%) 등 주요 신흥 에너지원이 주목 받고 있으며, 이는 2038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121.9GW로 확대하겠다는 정부의 계획과도 방향을 같이한다.

이 같은 에너지 전환 다각화 전략은 전력망의 안정성과 경제성, 지속가능성 간의 균형을 강화해 한국의 청정에너지 목표 달성을 뒷받침할 것으로 기대된다.

ABB는 2025년 5월부터 6월 두 달간 진행한 '2025 아시아태평양 에너지 전환 준비 지수' 설문조사를 통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에너지 전환에 대한 강한 의지를 확인했다.

조사는 기업의 지속가능성, 디지털화, 전기화 또는 자동화 전략을 담당하는 4085명의 에너지 리더를 대상으로 이중맹검(double-blind) 방식으로 진행됐다.

ABB는 보고서를 통해 지역의 잠재력을 최대한 실현하기 위해서는 투자 우선순위와 전환 수요를 일치시키고, 핵심 기술을 신속하게 도입하며, 이해관계자 간 긴밀한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보고서 전문은 ABB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하면 된다.

<용어 설명>

■ABB : 전기화 및 자동화 기술 리딩 기업으로 보다 지속 가능하고 더 효율적으로 자원이 이용되는 미래를 만들어가고 있다. ABB의 엔지니어링 및 디지털 전문 역량은 다양한 산업이 최고 수준으로 운영되는 동시에 보다 효율적이고 생산적이며, 지속 가능하도록 도와 궁극적으로 더 많은 성과를 내도록 지원하고 있다. ABB는 140년 이상의 역사와 함께 전 세계 11만 명의 직원이 근무 중이다. 회사는 스위스 증권 거래소(ABBN)와 나스닥 스톡홀름(ABB)에 상장돼 있다. 홈페이지 www.abb.com/kr.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