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차기 정부가 추진할 에너지 전략의 중심축은 원자력이 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단법인 에너지안보환경협회(회장 이웅혁)는 14일 ‘제9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을 하루 앞두고 “에너지 안보와 산업 전략, 국가 경쟁력, 기후 대응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해법은 원전”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차기 정부의 바람직한 에너지정책 방향’을 주제로 열릴 이번 콜로키엄은 에너지, 외교·안보, 학계, 시민사회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석해 한국의 현실에 맞는 에너지 믹스 구성과 정책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발제자로 나설 KAIST 정용훈 교수(원자력 및 양자공학과)는 “현재의 탄소중립 선언은 기술·수요·경제 구조를 고려할 때 실현 가능성이 낮다”며 “현실적이고 실행 가능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은 유럽과 달리 전력망이 외국과 연계되지 않은 ‘에너지 섬’으로, 간헐적 재생에너지에 의존할 경우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불가능하다”며 “재생에너지의 불안정성을 보완하기 위해 필요한 배터리 구축 비용이 1000조 원에 이를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원자력은 무탄소, 24시간 안정 공급이 가능한 유일한 전원”이라며 “2024년 기준 원자력 전력 단가(66원/kWh)는 LNG(175원), 재생에너지(208원)에 비해 경제성도 뛰어나다”고 밝혔다.
특히 AI, 전기차, 데이터센터 등 고밀도 전력이 필요한 미래 산업의 안정적 기반으로 원자력이 필수적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또 “독일과 같은 유럽형 재생에너지 모델은 다양한 보완 전원이 존재하기 때문에 가능한 구조이며, 한국은 이와 같은 전력 연계망이 없어 단순 모방은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이웅혁 회장은 이날 콜로키엄에서 차기 정부가 추진해야 할 에너지정책 방향으로 △에너지정책 독립위원회 설립 △재생에너지 정책의 구조적 개선 △전기요금의 원가 반영 및 요금 체계 개편 △에너지 외교와 산업 전략의 통합을 제안했다.
그는 “정권 교체에 따라 에너지정책이 흔들리는 문제를 해결하려면 정치와 무관하게 작동하는 독립적 정책기구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에너지안보환경협회는 다음달 12일 제10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을 개최할 예정이다. 10차 콜로키엄에선 ‘가스산업 관점에서 바라본 알래스카 LNG 사업’을 주제로 신현돈 인하대 교수가 발제를 맡는다. 자세한 사항은 협회 홈페이지(www.esea.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핵융합특집②] 인공태양 KSTAR, 핵융합 에너지 시대 연다
- [핵융합특집①] 세계는 ‘인공태양’ 선점 경쟁 중
- [인터뷰] 허성무 의원 “기후에너지부는 미래 부처”...정부조직 개편 쟁점
- ‘핵 자강론’ 불붙은 한국...美 민감국가 지정, 에너지·안보 패러다임 흔들어
- 에너지안보환경협회, 제7차 콜로키엄 개최
- 에너지안보환경協, 6차에너지안보콜로키엄
- 에너지안보환경協, 5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 개최
- 환경부, ‘배터리 순환이용 활성화 방안’ 발표…2027년 배터리 여권제 대응 본격화
- 이재명 “에너지 구조, 근본적 개편” vs 김문수 “원전 확대...발전 비중 60%↑”
- [이슈] AI 열풍 속 전력폭증…데이터센터 소비, 2030년까지 2배↑
- 국민 10명 중 9명, ‘재생에너지 확대’ 찬성
- [이슈]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단순 수익률 넘는 ‘국가 전략자산’으로 접근해야”
- [심층] 알래스카 LNG 사업 참여, “국가전략자산 vs 기후 역행”...국내외 찬반 양론
- 에너지안보환경協, 한중·한일 해양관할권 전략 대응 ‘콜로키엄’ 개최
- 중국의 ‘해양굴기’, 서해까지 확장...“한국 해양 에너지 주권, 지금 침묵하면 끝장”
- [진단] “중동 위기, 에너지 공급망 뒤흔든다...한국형 대응 전략 재점검 시급”
- 北-러 파병 거래, ‘정제유 공급선’이 한반도 에너지 안보 흔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