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사단법인 에너지안보환경협회가 27일 오후 2시 협회 회의실에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공모 마감’을 앞두고 제7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협회는 이날 ‘에너지안보와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화지역 지정, 그 함의 및 과제’를 주제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고 전했다. 이번 콜로키엄은 산업통상자원부의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공모’ 마감을 앞두고 진행돼 관심을 모았다.
이번 콜로키엄에서는 전력 전문가와 에너지기업 관계자, 환경정책 전문가, 변호사 등이 참석해 전국 전력망의 병목과 계통 혼잡 문제를 전력안보 위협 차원에서 논의했다.
이태의 에너지경제연구원 자원안보정책 연구실장은 강원·동해안 지역에서 발생하는 발전제약과 송전망 건설 지연 문제를 지적하며, 전력안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실장은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지역 전력 자립과 계통 분산을 제도화하는 중요한 정책적 전환점”이라며 “이를 통해 개별 에너지 자원을 디지털 통합발전소(VPP)로 연계해 운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회의에선 또 전기요금 차등제와 지역별 전력 부담을 공정하게 조정하는 방안도 논의됐다. 이웅혁 협회 회장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에서 전기요금이 더 낮아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언급하며, 이를 실현하려면 고효율 ESS 도입과 기술적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소형 원자력 발전(SMR)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재생에너지 외 다양한 분산형 전원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했다.
에너지안보환경협회는 다음 달 24일 제8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을 예정하고 있다. ‘미국 에너지부의 한국 민감국가 지정, 핵자강론의 이상과 현실’을 주제로 심상민 아산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발제를 맡을 예정이다. 자세한 사항은 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일본式 LNG 모델, 유럽엔 안 맞는다"…韓에도 남긴 3가지 경고
- 한국가스연맹, LNG2029 유치 본격화…에너지 안보 강화
- 대한전기협회, 에너지안보 확립 역량 펼친다
- 에너지안보환경協, 6차에너지안보콜로키엄
- 에너지안보환경協, 5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 개최
- 정부, 재생에너지 확대 드라이브…LNG는 '그림자 속 조정'
- 에경연, ‘제24기 에너지고위경영자과정’ 개강
- ‘핵 자강론’ 불붙은 한국...美 민감국가 지정, 에너지·안보 패러다임 흔들어
- “에너지 안보·산업 전략·기후 대응 해법은 원전뿐”
- [이슈]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단순 수익률 넘는 ‘국가 전략자산’으로 접근해야”
- 에너지안보환경協, 한중·한일 해양관할권 전략 대응 ‘콜로키엄’ 개최
- 중국의 ‘해양굴기’, 서해까지 확장...“한국 해양 에너지 주권, 지금 침묵하면 끝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