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해군 함정 유지보수(MRO) 체계의 국산화와 민간 기술 기반 확보를 위한 한국해양방위산업협동조합(이사장 김성태, 이하 조합)이 6월19일 부산 영도에서 공식 출범했다. 이번 출범은 해군의 지속 가능한 유지 전력 확보와 함께 중소조선소·기자재 기업·연구기관·학계가 공동 참여하는 민관 플랫폼의 출발점으로 주목된다.
조합은 △해군 함정 핵심 기술의 국산화, △중소기업 기술역량 강화, △디지털 기반 MRO 체계 구축, △해군과의 정책·국제협력 연계 확대 등을 중점 과제로 설정했다.
■ 민·군 협력기반 구축…시험·인증·디지털 전환까지 총망라
이날 총회에서 의장을 맡은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KOMERI) 배정철 원장은 “KOMERI의 축적된 시험인증 및 기술 노하우를 바탕으로 조합이 해군 MRO의 품질·기술 허브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전방위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조합은 MRO 기술의 디지털 전환도 함께 추진하며, 함정 수명주기 전반에 걸친 유지·보수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AI 기반 예지정비 및 상태 기반 정비(CBM) 체계 구축을 위한 협의도 이어나갈 방침이다.
이번 조합 창립은 단순한 산업 연합체를 넘어, 방산 부문의 지속가능한 기술 협업 구조로서 정부-군-산업체 간 전략적 연계체계 형성의 시금석이 될 전망이다.
■ “기술과 신뢰로 해군 전력지원 생태계 구축”…중소기업 중심 성장 기대
초대 이사장으로 선출된 동일조선 김성태 대표는 취임사를 통해 “오늘 우리는 해군 전력지원을 위한 민간 기반 MRO 생태계의 첫 단추를 꿰었다”며 “전문성과 신뢰, 공동 비전을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해군 MRO 플랫폼을 함께 만들어 나가자”고 강조했다.
초대 임원진에는 파나시아, 대양전기공업, 세호마린솔루션즈, 소망메탈 등 조선·해양 전문 기자재 중견기업 대표들이 대거 참여했다. 여기에 한국해양대학교 군사대학장, 조선기자재연구기관 등 학술·기술 파트너들도 함께해, 민간 중심 방산 MRO 체계로의 전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이번 조합의 출범은 단순한 민간 조달 체계 개선을 넘어, 중소기업이 중심이 되는 방산 기술 자립 모델로의 전환을 상징하며, 해군 전력 지속성과 국가 방위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실질적인 기여가 기대된다.
- KOMERI, 산업기술 세미나 '친환경 기자재 성능평가 기술 공유'
- KOMERI, 해군 군수사와 MRO 협력…MADEX 2025서 MOU 체결
- KOMERI-해군, 해양 방위산업 R&D 협력 강화
- KOMERI–PIPA, 조선해양 탄소관리 ‘ICT 동맹’ 가동
- KOMERI-해군 군수사령부, 군수품 품질 고도화 협력 강화
- KOMERI, 구독형 태양광 설비로 RE100 전환 본격화
- [분석]KOMERI-덴마크산업협회 MOU, 글로벌 공조 신호탄
- KOMERI-덴마크산업협회, 해상풍력·조선기술 R&D 협력 본격화
- KOMERI, 조선해양기자재 기업 대상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 "ESG는 생존 전략"…KOMERI–ESG연구조합, 조선·해양 ESG 공동 전선
- KOMERI, 국내 첫 ‘암모니아 기반 수소생산 실증’ 본격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