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진우 기자] 차세대 원전 운용에 장착될 에이전틱 인공지능 개발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세계 최초로 에이전틱 인공지능(agentic AI)을 적용해 원자로 운전 지원을 위한 인공지능 에이전트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에이전틱 인공지능은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의 발전으로 새롭게 등장한 기술이다.
고도화된 추론 능력을 바탕으로 전략을 능동적으로 수립하고 상황에 맞는 기능이나 도구를 선택해 활용할 수 있어 기존 인공지능과 차별화된다.
에이전틱 인공지능은 "현재 상태를 진단하여 보고하고 이상이 있을 경우 완화 전략을 수립하고 시행하라"와 같은 복합적인 지시도 스스로 판단해 연속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기존 인공지능과 차별화된다.
연구진이 개발한 원자로 운전 지원 인공지능 에이전트는 운전원이 여러 업무를 직접 수행하지 않고 간단한 지시 한 번으로 다양한 운전 과정을 자동으로 처리한다. 즉 단순한 프로그램을 넘어 '보조 운전자' 같은 역할을 한다.
또한 원자로 이상 발생 시 신속히 감지하고 운전원에게 진단 결과를 브리핑한다. 이를 통해 신속한 대응을 돕고, 미래 상태를 예측해 이상 상황 해결을 위한 운전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연구진은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배포하는 소형모듈형원자로(SMR) 시뮬레이터인 iPWR(Integral Pressurized Water Reactor) 시뮬레이터를 활용해 기능을 검증했다.
연구원은 이번 성과를 이전에 공개한 세계 최초 원자력 특화 인공지능 거대언어모델 ‘AtomicGPT’와 연계해 성능을 꾸준히 개선할 계획이다. 이후 고정밀도 시뮬레이터로 성능 및 신뢰성 검증을 거쳐,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에 순차적으로 적용할 예정이다.
지난 8월 에이전트 관련 기술 일부를 엠에스아이랩스에 기술 이전하는 데 성공했다. 엠에스아이랩스는 해당 기술과 AtomicGPT를 활용해 원자력 특화 인공지능 에이전트 플랫폼을 개발 중이다.
유용균 인공지능응용연구실 실장은 "차세대 원전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에이전틱 인공지능이 필수적"이라며 "연구개발을 지속해 차세대 원전 맞춤형 인공지능 에이전트를 구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원자력 분야 대표 학술지인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에 8월에 게재됐다.
- 가스공사, 생성형 AI 플랫폼 도입…공공기관 업무 혁신 신호탄
- '작지만 강하다'···한국형 소형원자로 글로벌 경쟁력 입증
- 수자원공사, '안전·에너지·AI' 중심의 전면 조직개편
- “AI, 해운업 탈탄소화의 엔진… 연료 전환 넘어 디지털 혁신”
- 산업단지, AI 혁신 거점으로…‘산업단지 Week’ 전국 개최
- 원자력연구원, '2025 하나로 국제 심포지엄' 개최
- 국내 LNG운반선 '세계 최초' 글로벌기술력 재확인
- 원자력연구원, 아태지역 연구로 활용 연수 개최
- 양성자가속기 활용 확산 위한 산학연 교류
- [분석] ‘원전 르네상스’ 시동 건 韓 정부...EU 법원 판결이 가져올 산업지형 변화
- 최원호 원자력안전위원장, IAEA 총회 참석
- SMR 패권경쟁 본격화...“정부·국회, 속도감 있게 나서야”
- 원자력연, 와이어로프 비파괴검사장치 '로프 닥터' 개발
- [기획] 2050년까지 전세계 약 400기 상업용 원전 해체
- [기획]탄소중립·에너지안보 사이, 새 성장동력 찾다
- 원자력연구원, SMR 사용후핵연료 성과공유회 개최
- 원자력연 연구원 창업기업 일본 투자 유치 성공
- 한-IAEA 다자간 방사선 기술 국제공동회의 개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