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한국전력기술은 원자력환경공단과 방사성폐기물처분 분야 해외시장 공동진출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사진 왼쪽 한전기술 김태균 사장, 사진 오른쪽 원자력환경공단 조성돈 이사장)  / 한국전력기술 제공
30일 한국전력기술은 원자력환경공단과 방사성폐기물처분 분야 해외시장 공동진출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사진 왼쪽 한전기술 김태균 사장, 사진 오른쪽 원자력환경공단 조성돈 이사장) / 한국전력기술 제공

[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한국전력기술(사장 김태균)이 원전 사후관리 분야의 해외시장 진출에 속도를 낸다.

한전기술은 30일 경주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에서 한국원자력환경공단과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관련 해외시장 공동진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양 기관은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을 포함한 국내외 원전 사후관리 사업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고,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공동 사업 기회를 적극 발굴할 계획이다.

한전기술은 국내 대부분의 원전을 설계하며 축적한 고도의 엔지니어링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원자력환경공단은 방사성폐기물 관리 및 저장 분야에서 풍부한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

양 기관은 이러한 강점을 결합해 국내 고준위 방폐물 처분장 조성 등 향후 추진될 원전 사후관리 사업은 물론 해외 원전 시장의 신규사업 기회 창출에도 힘을 모으기로 했다.

원전 설계부터 방사성폐기물 처분까지 원전 전주기 기술 역량을 갖춘 한전기술은 현재 원자력환경공단이 운영 중인 중·저준위 방폐장 처분시설을 비롯해 건설 중인 2단계 표층 처분시설 및 3단계 매립형 처분시설 사업의 설계 및 기술지원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김태균 한전기술 사장은 "이번 협약이 원전 사후관리 사업 분야의 해외시장 공동진출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라며 "원전 건설부터 해체, 방사성폐기물 처분에 이르는 발전소 전주기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 원전 기술의 세계적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