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0일 한전기술과 디앤에스에코가 커피박 자원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사진 오른쪽 한전기술 김선관 부사장, 사진 왼쪽 디앤에스에코 김정원 대표이사) / 한국전력기술 제공
지난 30일 한전기술과 디앤에스에코가 커피박 자원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사진 오른쪽 한전기술 김선관 부사장, 사진 왼쪽 디앤에스에코 김정원 대표이사) / 한국전력기술 제공

[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한국전력기술(사장 김태균)이 커피 찌꺼기를 활용한 자원순환 체계 구축에 나섰다.

한전기술은 지난 30일 김천 본사에서 ㈜디앤에스에코(대표이사 김정원)와 'ESG 실천 및 커피박 자원순환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커피박은 커피 원두 추출 후 남는 부산물로, 국내에서 매년 15만 톤 이상 발생한다. 현재 대부분 매립이나 소각 처리되면서 환경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번 협약으로 한전기술은 사내에서 발생하는 연간 수십 톤 규모의 커피박을 별도 분리배출한다. 디앤에스에코는 이를 수거해 친환경 고형연료로 재가공하는 방식으로 순환경제 모델을 만들어간다.

경북 김천에 소재한 디앤에스에코는 국내 최초로 바이오매스 순도 95% 이상의 커피박 고형연료 성형 제품을 개발·제조한 기업이다. 커피박 고형연료는 연소 시 이산화탄소를 거의 배출하지 않아 탄소중립 연료로 분류된다.

김선관 한전기술 부사장은 "이번 협약은 지역과 함께 실질적인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모범사례"라며 "공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자원순환 활동을 확대해 ESG 경영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전기술은 앞으로 사내 생활 폐기물의 자원순환 체계를 지속 강화하고,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자원순환 모델을 확산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