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가 아시아 시장에 '올인'하려는 전략에도 불구하고, 제재 장기화와 물류 비용 상승, 인프라 부족 등 다중 리스크가 겹치고 있다. /이미지 편집
러시아가 아시아 시장에 '올인'하려는 전략에도 불구하고, 제재 장기화와 물류 비용 상승, 인프라 부족 등 다중 리스크가 겹치고 있다. /이미지 편집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러시아의 LNG 수출 전략이 심각한 전환점을 맞고 있다. 지난주 열린 러시아 LNG 컨퍼런스에 따르면, 러시아는 미국 주도의 대러 제재로 인해 신규 LNG 프로젝트 추진과 수출 확대에 큰 제약을 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일본과 한국 등 동북아시아 주요국의 가스 수급 전략에도 변화가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우드맥킨지(Wood Mackenzie)와 러시아 에너지 전문가들은 "글로벌 LNG 공급 과잉이 시작되는 2025년부터 러시아는 더욱 치열한 경쟁에 직면할 것"이라며, "미국이 러시아에 대한 LNG 제재를 유지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입을 모았다. 이는 러시아의 북극권 프로젝트(Arctic LNG 2 등)뿐만 아니라 극동지역 신규 플랜트(사할린-2 확장, 극동 LNG 프로젝트 등) 추진에도 직격탄이 될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는 유럽 시장 이탈에 대비해 아시아, 특히 동북아 시장(일본·한국·중국)으로 LNG 판매를 확대하려 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은 녹록지 않다. 미국 제재 여파로 러시아산 LNG를 구매하려는 비서방국가조차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극동 러시아 지역에 필요한 인프라(얼음 등급 탱커, 가스전, 파이프라인)도 크게 부족한 상황이다.

러시아 내 전문가들도 "극동지역에 LNG 생산설비를 증설하지 않으면 카타르 LNG와 경쟁이 어렵다"고 인정하고 있다. 특히 사할린-2 확장이나 극동 LNG 신설 프로젝트가 좌초될 경우, 일본과 한국 등 동북아 시장에서 러시아산 LNG의 공급 불안정성이 더욱 부각될 수 있다.

일본은 이미 러시아산 LNG 의존도를 낮추려는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러시아산 대신 미국, 호주, 중동(카타르) 등으로 공급선을 다변화하는 전략을 본격 추진 중이다. 최근 일본 경제산업성(METI)은 "에너지 안보 강화를 위해 비러시아계 장기계약 비중을 높일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한국 역시 러시아산 LNG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낮지만, 동북아 지역 전체 가스 공급망의 변화가 한국의 수급 안정성에도 중장기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러시아 물량이 줄어들면 일본과 한국 모두 같은 시장(호주, 카타르, 미국)에서 LNG를 추가 조달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스팟 가격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도 있다.

전문가들은 일본과 한국이 LNG 수급 리스크에 공동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한일 공동 구매, 비상시 비축망 공유, 아시아 LNG 플랫폼 구축 등이 그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특히 한국은 기간계약-스팟 조정 전략과 함께, 극동 러시아산 대체 물량 확보를 위한 적극적 포트폴리오 다변화가 요구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