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기안전공사, 여름철 전기사고 예방수칙 발표
장마철과 집중호우가 이어지는 여름철, 감전사고 위험이 크게 높아지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전기안전공사(사장 남화영)는 17일 장마철과 폭우 시 전기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수칙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감전사고로 인한 사상자는 7월 55명, 6월 51명 등 여름철에 집중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름철 집중호우와 장마로 인한 높은 습도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누전차단기 점검이 핵심
습도가 높을 때 누전사고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가정 내 설치된 누전차단기의 작동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누전차단기 작동 확인은 간단하게 누전차단기에 달려 있는 시험 버튼을 눌러 확인할 수 있다.
침수지역 전기시설물 접근 금지
집중호우로 거리가 침수됐을 때는 가로등과 신호등 등 전기시설물 근처로 가지 않는 것이 좋다. 이들 시설에서 전기가 흘러나와 보행자에게 피해를 입힐 수 있기 때문이다.
침수지역에서 가져온 전자제품에 전원을 연결하는 행위도 위험하다. 가전제품이 물에 일부라도 잠겼다면 완전히 건조한 이후에 작동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낙뢰가 심할 때는 컴퓨터나 TV의 전선을 뽑아두는 것도 안전한 방법이다.
사전 예방과 응급대응 요령
한국전기안전공사 관계자는 "비나 강풍이 예고되면 각 가정과 상가, 작업장 등에 늘어져 있는 전선을 미리 정리하는 것도 사고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또한 "감전 사고자에게 접촉을 시도하면 2차 감전의 가능성이 높다"며 "사고가 나면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체를 활용해 사고자와 전기 접촉을 단절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 한국전기안전공사-전북대 협약 체결
- 전기안전공사 앞마당이 물놀이장으로 변신
- 전기안전공사 충남중부지사 기술세미나 성료
- 한국전기안전공사, 극한환경 BESS 개발 착수
- 한국전기안전공사 신입직원 134명 교육 수료
- 한국전기안전공사, 중소기업 협력사업 확대 추진
- 한국전기안전공사, 구역전기 안전성 강화 나서
- 한국전기안전공사, 폭염철 전기시설 특별점검 나서
- 전기안전공사-LG전자 모듈러 주택 안전 협력
- 전기안전공사 국민공모전 대상 발표
- 한국전기안전공사, 시험자 인정 기준 설명회 개최
- 전기안전공사, 특임감사인 17명 위촉
- 전기안전공사 시험자 기준 논란
- 전기안전공사, 보훈부 장관표창 수상
- 침수 복구 시 전기 차단 필수
- 한국전기안전공사, 호우피해 긴급복구 총력
- 전기안전공사-ASEAN 신재생 안전보고서 발간
- 한국전기안전공사, 개인정보보호 인증마크 신규 취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