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한국전기안전공사와 한화에너지가 에너지저장장치(ESS) 기술 발전과 산업 생태계 강화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전기안전공사는 4일 전북 완주군 봉동읍 에너지저장연구센터에서 남화영 사장과 한화에너지 이재규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ESS 활용 기술 개발과 산업 활성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극한환경에서의 ESS 안전기술 개발과 차세대 전력계통 기술인 그리드포밍(Grid-Forming, GFM) 공동 연구다. 양 기관은 해외 극한환경에서의 ESS 실증 프로젝트를 함께 추진하며, 현장 중심의 국내외 기술기준 정립에도 나선다.

특히 전기안전공사가 보유한 에너지저장연구센터의 대용량 실증설비를 활용해 GFM 기술을 공동 검증할 계획이다. 이 센터는 8MWh급 ESS와 1MW 태양광, 440kW 수소연료전지 시설을 갖추고 있어 실제 운영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 기술 검증이 가능하다.

GFM 기술은 재생에너지 확산에 따른 전력계통 불안정성을 해결하는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기존 전력계통과 달리 ESS가 주도적으로 전력망을 안정화시키는 방식으로, 미래 에너지 시스템의 중추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협약에는 국내외 선진기술 정보 교류와 기술정책 공유 방안도 포함됐다. 양 기관은 이를 통해 글로벌 기술 트렌드를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국내 ESS 산업의 경쟁력을 높여나갈 방침이다.

남화영 전기안전공사 사장은 "전기안전관리 전문기관으로서 ESS 기술의 신뢰성을 높이고, 민간기업과의 지속적인 기술 교류를 통해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양 기관은 이번 협력을 바탕으로 ESS 안전기술과 GFM 엔지니어링 역량을 대폭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 기반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전기안전공사는 앞으로도 현장 맞춤형 전기안전 기술 개발을 지속하며, 민간기업 지원을 통한 산업 생태계 발전에 주력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